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자진아라리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가창유희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청원군 문의면 도원리 도황골의 자진아라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북도편은 CD 6장, 150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강청룡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강청룡 |
지역개관 | 도원1리는 도황골과 목골의 두 개의 자연부락으로 이루어져 있다. 가구수는 도황골에 42호, 목골에 14호가 살고 있다. 마을주민의 대다수가 농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특수작물인 고추, 수박, 딸기가 주요 소득원이 되고 있다. 예전에는 칠월 칠석날 돼지 잡고, 머슴들에게 옷 해주는 백중을 지냈다. 도원2리는 아직도 정월 대보름날 풍물을 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월 26일에 충청북도 청원군 문의면 도원리 도황골에서 채집한 자진아라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정청룡이 참여하였다. 어렸을 때 디딜방아로 보리, 벼, 수수 등을 찧으면서 불렀다고 한다. |
가사 | 우리 시어머니 잔소리는 설비상같고
오전짜리 단풍은1) 꿀맛같애 우리 시아바이 죽으믄 좋다더니 왕골자리 떨어징게 시아바이 생각 우리 시어머이 죽으믄 좋다더니 보리방아 물 붜농께 시어머이 생각 껄커덩 껄커덩 찧는 방아 언제나 다 찧고 밤마실 가나 방아품 팔어서 개떡 쪘네 영감아 땡감아 개떡 먹게 개떡을 쪘으면 적게나 쪘나 네꼭지 시루로2) 한시루 쪘네 뜨거운가 저붐주까3) 목 막힌가 물을 주까 1)단풍 : 담배이름. 값이 오전이었다고 한다. 2)네꼭지 시루 : 손잡이가 네개 달린 큰 시루. 3)저붐 → 젓가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