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각설이타령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가창유희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청원군 문의면 도원리 도황골의 각설이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북도편은 CD 6장, 150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강청룡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강청룡 |
지역개관 | 도원1리는 도황골과 목골의 두 개의 자연부락으로 이루어져 있다. 가구수는 도황골에 42호, 목골에 14호가 살고 있다. 마을주민의 대다수가 농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특수작물인 고추, 수박, 딸기가 주요 소득원이 되고 있다. 예전에는 칠월 칠석날 돼지 잡고, 머슴들에게 옷 해주는 백중을 지냈다. 도원2리는 아직도 정월 대보름날 풍물을 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월 26일에 충청북도 청원군 문의면 도원리 도황골에서 채집한 각설이타령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정청룡이 참여하였다. 젊어서 각설이가 마을에 들어왔을 때 애를 업고 그 사람을 따라 다니며 배웠다고 한다. |
가사 | 얼씨구씨구 씨구씨구 들어왔네
이 문전에 들어올때 누구나 바래고 들어왔나 아주머니 바래고 들어왔네 씨구씨구씨구씨구 들어왔네 품바나 하고도 들어왔네 많이나 줘야지 떡 한 쪽 작게나 주면 술 한 잔 씨구씨구씨구씨구 들어간다 얼씨구 절씨구 잘하네 품바나 하고도 잘한다 우리 어머니 우리 아버지 날 나서루 길를 적에 무슨 직업을 못갈켜서 장타령을 갈키셨나1) 씨구씨구씨구씨구 들어왔네 품바하구두 들어왔네 거들거리구두 들어왔네 선 고리는 문고리 앉은 고리는 개고리 이 고리 저 고리 문고리 입는 고리는 저고리 씨구씨구씨구씨구 들어왔네 얼씨구 절씨구 잘하네 품바나 하고도 들어왔네 올려다 보니 소라반자2) 내려다 보니 각강장판3) 씨구씨구씨구씨구 들어왔네 얼씨구 절씨구 잘한다 품바나 하고도 잘한다 가을 바지는 접바지 겨울바지는 솜바지 씨구씨구씨구씨구 들어왔네 품바나 하고도 들어왔네 한 대문만 비었으면 지집자식을 다 굶긴다 얼씨구 절씨구 잘하네 품바나 하고도 잘하네 많이 벌어야 돈 삼십원 적게나 벌면 일원이고 이걸 가지고 먹고 사나 얼씨구 절씨구 잘하네 품바나 하고도 잘한다 한 대문만 비었으면 지집자식을 다 굶기고 많이 돌아야 열 집일세 품바나 하고도 들어왔네 거들거리고도 들어왔네 1)갈키셨나 → 가르치셨나. 2)소라반자 소란(小欄)반자 : 반자의 한 가지. 반자를 井자 여럿을 모은 것처럼 소란을 맞추어 짜고 그 구멍마다 네모진 널조각의 개판(蓋板)을 얹어 만듦. 3)각강장판 - 각장장판(角壯壯版) : 두꺼운 장판지인 각장으로 바른 장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