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상사나뒤야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청원군 부용면 부강리 오대의 모심는소리-상사나뒤야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북도편은 CD 6장, 150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엄순득, 박봉룡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엄순득, 뒤/박봉룡 외 |
지역개관 | 충청북도 청원군 부용면 부강리 오대의 자연부락 이름은 명당자리인 집터가 다섯군데 있어서 오대라고 했으며 지금은 부용면 소재지로 번창한 마을이다. 현재 가구수 100호 정도가 거주하고 있다. 25년전에는 270호 정도가 거주하는 큰 마을이었는데 부용6리와 7리로 분리가 되었다. 부용면은 청원군 14개 면 중에서 제일 작은 면이지만 소재지는 제일 크다고 한다. 밀양 박씨가 가장 먼저 들어와서 자리를 잡았고 지금도 박씨가 많다. 원래 부촌이고 반촌이었으며 지금도 대부분이 농사를 짓고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월 28일에 충청북도 청원군 부용면 부강리 오대에서 채집한 상사나뒤야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엄순득, 박봉룡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
가사 | 에야 헤 에이여루 상사나 뒤야
에야 헤 에이여루 상사나뒤야" "이 논자리에 모를 내서 봉지사 적변각1) 다 하구요 " " 에야 헤 에이여루 상사나뒤야" "담상담쏙 닷마지기를 반달만큼 짓달었네 " " 에야 헤 에이여루 상사나뒤야" "제야 무슨 반달이더냐 초승달이 반달이지 " " 에야 헤 에이여루 상사나뒤야" "초승달만 반달이냐 그믐달도 반달이지 " " 에야 헤 에이여루 상사나뒤야" "이 논자리를 얼른 심고 질뚝배미로2) 넘어간다 " " 에야 헤 에이여루 상사나뒤야" "상주함창 공갈못에 연밥 따는 저 처녀야 " " 에야 헤 에이여루 상사나뒤야" "연밥줄밥은 내 따줄께 요내 품에 와 잠을 자세 " " 에야 헤 에이여루 상사나뒤야" "잠 자기는 어렵잖으나 우리부모님께 허락을 받게 " " 에야 헤 에이여루 상사나뒤야" "말굴레같은3) 은가락지는 누구를 줄라다 나를 주나 " " 에야 헤 에이여루 상사나뒤야" "해는 지고 저문 날에 옷갓을 하고서 어디를 가소 " " 에야 헤 에이여루 상사나뒤야" "첩의 집을 가시려면 나 죽는 꼴을 보고 가게 " " 에야 헤 에이여루 상사나뒤야" "에야 헤 에이여루 상사나 뒤야 " " 에야 헤 에이여루 상사나뒤야" " " 1)봉지사 적변각 → 봉제사 접빈객(奉祭祀 接賓客) : 제사를 받들고 손님을 접대함. 2)질뚝배미 : 길 뚝너머에 있는 논. 3)말굴레 : 가죽끈이나 삼줄같은 것으로 얽어 말 대가리에 씌우는 물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