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자진아라리 |
주제분류 | 민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청원군 오창면 가곡1리의 자진아라리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북도편은 CD 6장, 150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재님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이재님 |
지역개관 | 가곡1리는 오창면에서 제일 큰 마을로 놀기 좋아하는 마을이라고 한다. 현재 75호가 살고 있고 대부분이 농사를 짓는다. 밭은 별로 없고 팔결다리 건너의 팔결들에서 주로 논농사를 짓고 있다. 그리고 마을에는 작은 벽지(방수지)공장과 화장품용기 만드는 공장이 있으며 예전에는 김해 김씨 집성촌이었다고 한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월 28일에 충청북도 청원군 오창면 가곡1리에서 채집한 자진아라리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이재님이 참여하였다. 밭매면서 많이 불렀다. |
가사 | 얼그럭 덜그럭 호맹이 소리
일천에 간장이 다 녹는다 은가락지 금시계 찌던 손에 호맹이 자루가 웬일인가 아리아리 쓰리쓰리 아라리요 아리아리 고개루 넘어간다 나 넘어가는 고개 한 고개고 우리 서방님 고개는 두 고갤세 떨끄덩 쿵다쿵 찧는 이 방아 원제나 다 찧고 임품에 드나 임품에 들적에 우는 닭은 야산에 쪽제비나 꼭 물어가게 울따리 밑에서 깔비는 총각 눈치나 있걸랑 떡 받아 먹게 떡을랑 받아서 팽개를 치고 내 홀목1) 잡구서 발발 떤다 요놈의 총각아 홀목을 놓게 길상사 접저고리 등 나간다 길상사 접저고리 등 나가면 한양사2) 접저고리 내가 해 주지 영감아 땡감아 일어를 나게 보리방아 품 팔아서 개떡죽 쒔네 개떡을 찌면은 이만저만 네꼭지 시루를 하나 쪘지 오르락 나르랑 잔기침소리 젖니밥에3) 물 말구두 나를 못먹네 요놈의 낭군아 살라면 살지 내맘을 요리 흐리구 어디로 갔나 1)홀목 → 손목. 2)한양사 : 길상사, 한양사는 모두 모시의 일종으로 한양사가 길상사보다 더 좋다고 한다. 3)젖니밥 → 전 이밥 : 전부 이밥이라는 뜻.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