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상상사뒤야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부터 1995년까지 남한 일대에서 수집한 토속민요(향토민요) 자료 한국민요대전 중 충청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청원군 남이면 석실리 산너머의 모심는소리-상상사뒤야이다.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중 충청북도편은 CD 6장, 150곡으로 구성되며, 1995년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허엽, 허홍 외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앞/허엽, 뒤/허홍 외 |
지역개관 | 석실리는 산너머, 서편말, 동편말, 벌터, 사챙이의 자연부락으로 이루어져 있고 마을 앞으로 팔봉산과 용덕산이 자리잡고 있다. 밀양 박씨가 가장 먼저 들어와서 마을을 이루었고 다음에 양천 허씨가 들어와서 집성촌을 이루었다. 석실리 전체는 56호가 살고 있지만 산너머는 12호가 살고 있으며 이 중에서 10호가 양천 허씨이고, 이씨와 민씨가 있다. |
해설 | 본 자료는 1993년 1월 29일에 충청북도 청원군 남이면 석실리 산너머에서 채집한 상상사뒤야이다. 본 자료의 가창자로 허엽, 허홍 외 여러명이 참여하였다. |
가사 | 에헤야헤 헤이야루 상상사뒤요 "
" 에헤야헤 헤헤야루 상상사뒤야" "이 논배미 모를 심어 장잎이 훨훨 영화로다 " " 에헤야헤 헤헤야루 상상사뒤야" "달아달아 밝은 달아 이터백이1) 노던 달아 " " 에헤야헤 헤헤야루 상상사뒤야" "저기저기 저 달속에 계수나무가 서있으니 " " 에헤야헤 헤헤야루 상상사뒤야" "은도끼로 비어다가 옥도끼로 다듬어서 " " 에헤야헤 헤헤야루 상상사뒤야" "복역에 주추 세우고 상대로 기둥 세워 " " 에헤야헤 헤헤야루 상상사뒤야" "상제로 기둥 세우고 삼팔목은 도리2) 얹고 " " 에헤야헤 헤헤야루 상상사뒤야" "상강연은 대령3) 얹고 개개연목을4) 걸어 놓고 " " 에헤야헤 헤헤야루 상상사뒤야" "선후 찾어서 산자 얽고5) 오십토로6) " "새를 받어7) " " 에헤야헤 헤헤야루 상상사뒤야" "인의예지는 기와 덮고 하도낙서8) 단청하니 " " 에헤야헤 헤헤야루 상상사뒤야" "일육수는 북문이요 이치화 남문이라 " " 에헤야헤 헤헤야루 상상사뒤야" "삼구금은 서문이요 삼팔목은 동문일세 " " 에헤야헤 헤헤야루 상상사뒤야" "에헤야 헤헤여라 상상사뒤요 " " 에헤야헤 헤헤야루 상상사뒤야" "하도낙서 단청하고 양천부모를9) 모셔다가 " " 에헤야헤 헤헤야루 상상사뒤야" "천년만년 유택지지 이 아니 명당인가 " " 에헤야헤 헤헤야루 상상사뒤야" " " 1)이터백이 → 이태백이. 2)도리 : 대들보는 중앙이고 중앙에서 부터 사방에 기둥을 박을 수 있도록 가로 지른 나무. 3)대령 : 대들보. 4)개개연목 : 서까래를 거는 것. 5)산자 얽고 : 서까래에 수수깡으로 얽는 것을 산자 얽는다고 한다. 6)오십토 → 진흙. 7)오십토로 새를 받어 : 진흙을 이겨서 까는 것으로 그 위에 기와를 얹는다. 8)하도낙서(河圖洛書) : 하도는 옛날 중국의 복희씨 때에 황하에서 용마가 가지고 나왔다는 쉰 다섯 점의 그림이고, 낙서는 옛날 중국 하(夏)나라의 우(禹)임금이 치수(治水)할 때 낙수(洛水)에서 나온 신귀(神龜)의 등에 있었다고 하는 마흔 다섯점의 글씨를 말하는데, 하도와 낙서는 주역의 기본 이치가 된다. 9)양천부모 → 양친부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