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200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1970~80년대 초에 북한에서 녹음된 자료를 입수하여 MBC가 출판한 북한민요전집 중 평안남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평안북도 염주군 도봉리의 탕세기이다. 북한민요전집-북녘 땅 우리소리(CD 10장, 352곡)는 방송문화진흥회의 기금 지원으로 북한으로부터 정식 입수하여 2004년 8월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칠선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김칠선 |
지역개관 | 평안북도는 한반도의 가장 동북에 위치한 도이다. 동쪽으로는 자강도와 접해있고 남쪽으로는 평안남도와, 그리고 북쪽은 중국과 맞닿아 있다. |
가사 | 하나 두 관이요 세이 네인데 다 여 일고 여덜 아홉 관 여라믄 관
한두 살에 철을 몰라 열에 살이 넘었구나 열에 하나요 둘이 세이 네인데 다 여섯 일고 여덟 아홉으라니 양 십에 일 관이요 양 십이면 시물이라 시물시물 끓는 무쟁이는(?) 백약의 으뜸이요 인간 칠십은 고래희로 못고탄1)병은 이 목욕탕에 백병이 소멸하는구나 일흔한 관 둘이요 세이 네이 다여 일곱 여들 아홉 서른 관 삼십이라 상요야(?) 밝은 달은 운무중천에서 놀건마는 청춘이 부자네라(?) 새루 삼십한 관 두 세 네인데 다 여섯 일곱 여덜 아홉을 하니 오팔은 사십이로구나 오팔단사 마흔이라 마흔 하나이요 둘 세이 네이 다 여섯 일곱 여덟 아홉으 관이요 반백이라 오십은 반백이 절반이로구나 젤반 남아 늙었으니 다시 젊지는 못하리로구나 젤반 하나요 둘인데 세이 너이 다 여섯 일고 여덜 아홉 하니 육십이요 육십이로구나 육십일 관은 환갑… 1)못고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