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수집아카이브 |
---|---|
자료명(이명칭) | 한국음악연구(韓國音樂硏究) 제62집 학회지, 논문집 |
자료명(영문) | STUDIES IN KOREAN MUSIC(Vol.62) |
자료명(한문) | 韓國音樂硏究 第62輯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201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김영운으로부터 기증받은 한국음악연구(韓國音樂硏究) 제62집 학술지이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20171230 |
생산자(처) | 한국국악학회 |
생산지역 | 국내 > 서울특별시 > 마포구 |
생산지역 상세 | 토정동 |
언어 | 한국어 |
형태분류 | 수집아카이브 > 문서류 > 정기간행물 > 학술지 |
검색어 | 한국음악연구(韓國音樂硏究) 제62집 학술지 , 한국음악연구(韓國音樂硏究) 제62집 학회지 , 논문집 , STUDIES IN KOREAN MUSIC(Vol.62) , 韓國音樂硏究 第62輯 |
자료설명 | 본 자료는 김영운으로부터 기증받은 2017년 12월 30일 사단법인 한국국악학회에서 발간한 한국음악연구(韓國音樂硏究) 제62집(第62輯)이다. 본 책은 총 434쪽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획논문 : 한국 전통음악의 선법과 시김새 우리음악의 선법과 시김새 반추(反芻) 김영운, 북한의 조선음악 조식연구 초기의 전개 양상:1950년대 후반부터 2000년경까지 김우진, 거문고산조의 우조, 평조, 계면조 김인숙, 서울 독경음악의 음조직과 선율적 특징 김혜정, 판소리 악조론의 보완과 확장 이용식, 육자배기토리권 굿음악의 음계와 선법 임미선, 계면조 선법의 변화와 탈계면조화:정악을 중심으로 일반논문 문숙희, 정간보 정간시가 논쟁 재검토 박주희, 일제강점기 비파연구:이왕직아악부의 문헌자료를 중심으로 배희민, 영제시조의 창자별 음악적 특징 비교 장윤희, 한국음악학의 국제적 전개와 연구 성과 고찰:영문 국악 전문서의 주제와 출판 동향을 중심으로 장희선, 조선후기 여창가곡의 형성배경에 대한 여성가자의 역할과 계보론 정화순, 조선전기 정간보의 활용실태 검토 하주화, 밑도드리 연구:서울풍류를 중심으로 휘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