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200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1970~80년대 초에 북한에서 녹음된 자료를 입수하여 MBC가 출판한 북한민요전집 중 평안남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평안남도 평원군 덕포리의 각설이타령이다. 북한민요전집-북녘 땅 우리소리(CD 10장, 352곡)는 방송문화진흥회의 기금 지원으로 북한으로부터 정식 입수하여 2004년 8월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진하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김진하 |
지역개관 | 평안남도는 북쪽으로 평안북도, 자강도, 동북쪽의 함경남도, 동남으로는 강원도, 남쪽으로 황해북도와 맞닿아 있다. 평양직할시와 남포특급시가 중앙과 남서에 위치하고 있다. 문덕군, 숙천군, 평원군, 증산군, 온천군의 다섯 지역은 순서대로 서북쪽으로 남쪽까지 해안에 연접하여 펼쳐져 있으며, 안주시 역시 바다와 접하지는 않았으나 서쪽 지역에 있다. 대흥군, 녕원군, 맹산군은 동쪽 지역이다. |
가사 | 헬시구 들으간다 절시구 들으간다
무슨 타령을 들을고 바지나타령이 들어간다 올라간다고 치바지 내리나간다고 내림바지 울당 샅에는 개바지 너름1)바지는 홑바지 가을바지는 겹바지 겨울바지는 솜바지 진짜나 바지는 아바지로다 어허 뚤뚤이 잘하고 저허 뚤뚤이 잘한다 “야 거 잘하댔구나, 잘하긴 뭘 잘하갔어. 맷돌간 아주마니 찬그릇 바라막듯 했시외다. 거 또 한 번 해라. 예, 합지요” 헬씨구 들으간다 절시구 들으간다 무슨 타령이 들으가노 지방타령이 들으간다 앉아 본다고 안주장 앉아설라니 못보구 서서나 본다구 선돌장 서설래게나 못보구 약사게 보싸게 석다리장 쥐가 다 썰과 못보구 꽁지빠져 분교장은 섭섭해서나 못보구 약작질착에 한천장 길이 즐어2) 못보구 집이 멀다고 영유장 노자가 잘라서 못보구 엎어졌다고 어페장 탕맹3)이 깨져서 못보구 자빠졌다구 자패장 뒷덜미 터져서 못보구 꼭 찔러 피양4)장 끔찍해서나 못보구 어허 뚤뚤이 잘하고 저허 뚤뚤이 잘한다 뚜르르르르르… “야 거 잘하댔구나. 잘하긴 또 뭘 잘하갔어. 거저 푼수없은 체녜 거저 젖꼭지 건사도 합네다.” 1)여름 2)질어 3)탕건 망건 4)평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