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가창유희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200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1970~80년대 초에 북한에서 녹음된 자료를 입수하여 MBC가 출판한 북한민요전집 중 평안남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평안남도 대흥군 랑림리의 각설이타령이다. 북한민요전집-북녘 땅 우리소리(CD 10장, 352곡)는 방송문화진흥회의 기금 지원으로 북한으로부터 정식 입수하여 2004년 8월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조관규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조관규 |
지역개관 | 평안남도는 북쪽으로 평안북도, 자강도, 동북쪽의 함경남도, 동남으로는 강원도, 남쪽으로 황해북도와 맞닿아 있다. 평양직할시와 남포특급시가 중앙과 남서에 위치하고 있다. 문덕군, 숙천군, 평원군, 증산군, 온천군의 다섯 지역은 순서대로 서북쪽으로 남쪽까지 해안에 연접하여 펼쳐져 있으며, 안주시 역시 바다와 접하지는 않았으나 서쪽 지역에 있다. 대흥군, 녕원군, 맹산군은 동쪽 지역이다. |
가사 | 헤헬시구시구 잘한다
논어나 맹자를 읽었나 유식하게두 잘한다 사서삼경을 읽었나 대문대문 잘한다 이 글을 본받아 장태령이나 하구 보자 우리나 부모 날 길러 부귀영화를 볼라다 병신의 역마를 봤구나 저절시구시구 잘한다 지짜타령으루 들어간다 올라나간다고 치바지 내리나간다고 숨은바지 만경창파에 복아지 둥글둥글이 바가지 이 바지나 저 바지 진짜 바지는 아바지 귀짜타령으로 들어간다 길 우에는 길상기 논두렁에는 먹장기 묵은 밭에는 사라기 두 발 가진 가마귀 젤시구시구 잘한다 너의 선상이 누구더냐 나보담도 더 잘해 아이 밑에는 기상질 헌데난 놈은 더덩질 절시구시구 잘한다 젤시구시구 잘한다 한 푼의 동냥은 못줘두 장태령이나 들어보오 문전걸식을 하는 사람은 열심히 보구 월서이구(?) 절시구 잘한다 품바절싸 잘한다 이 타령으로 들어가고 저 타령으로 생각하니 모든 것을 생각하니 문전걸식 거사라 젤시구시구 잘한다 통자타령으로 들어간다 외통 대통에 부대통 늙은이 테는 치애통 젊은이 테는 보지통 아가씨 딸은 젖통이로다 품바 품바 잘한다 제헤리구 헤리구 들어가 품바나 절싸 잘한다 일본에 동경을 갈라니 연락선이 없어서 못가구 만주봉천을 갈라니 여행증이 없어서 못가구 평양 성내를 갈라니 십오급이 없어서 못간다 젤시구시구 잘한다 품바나 절사 잘한다 나보담두 더 잘해 품바 품바도 잘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