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가창유희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200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1970~80년대 초에 북한에서 녹음된 자료를 입수하여 MBC가 출판한 북한민요전집 중 평안남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평안남도 문덕군 마산리의 나무타령 · 장기타령이다. 북한민요전집-북녘 땅 우리소리(CD 10장, 352곡)는 방송문화진흥회의 기금 지원으로 북한으로부터 정식 입수하여 2004년 8월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리정구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리정구 |
지역개관 | 평안남도는 북쪽으로 평안북도, 자강도, 동북쪽의 함경남도, 동남으로는 강원도, 남쪽으로 황해북도와 맞닿아 있다. 평양직할시와 남포특급시가 중앙과 남서에 위치하고 있다. 문덕군, 숙천군, 평원군, 증산군, 온천군의 다섯 지역은 순서대로 서북쪽으로 남쪽까지 해안에 연접하여 펼쳐져 있으며, 안주시 역시 바다와 접하지는 않았으나 서쪽 지역에 있다. 대흥군, 녕원군, 맹산군은 동쪽 지역이다. |
가사 | 운종용(雲從龍)이요 풍종호(風從虎)로다
구름은 용을 쫓아가고 비는 바람을 쫓아가누나 오다 가다가 오동나무 가다 오다가 가죽낭구 열아홉에 스무낭기요 서른아홉에 사십낭기요 아흔아홉에 백잣나무 월출동령에 일광낭기라 이내 손목을 쥐엄낭기요 허공중천에 구름나무 달가운데 계수낭기라 은도꾸로 찍어내여 금도꾸로 다듬아 굽은 낭근 접다듬고 젖은 낭근 굽다듬어 삼각산 제일봉에다 삼간 초당을 지어놓고 한 간에다 센네를 두고 한 간에는 옥녀를 두고 또 한 간에 금녀를 두고 금동녀 잠딜이고 센녀 방으로 들어를 가니 쌍륙판 바둑판 장구판을 별여 놓았는데 쌍륙 바둑판은 던져버리고 장구 한 수 벌여를 놓을 적에 초나라 초째(楚字)루 초패왕을 삼고 한나라 한째(漢字)루 한패왕 삼고 수레 차째(車字)루 관공을 삼고 말 마째(馬字)로 마포 삼고 코끼리 상자(象字)로 조자룡을 삼고 구비 사째(士字)로 모사장 삼고 구비 포째(包字)로 여포를 삼고 좌우 병졸로 다릴 놓아 이 포 저 포 넘나댕길 적에 억수만 군졸이 충설이로구나 생각하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