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 |
주제분류 | 민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200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1970~80년대 초에 북한에서 녹음된 자료를 입수하여 MBC가 출판한 북한민요전집 중 평안남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평안남도 숙천군 운정리의 배따라기이다. 북한민요전집-북녘 땅 우리소리(CD 10장, 352곡)는 방송문화진흥회의 기금 지원으로 북한으로부터 정식 입수하여 2004년 8월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홍기복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홍기복 |
지역개관 | 평안남도는 북쪽으로 평안북도, 자강도, 동북쪽의 함경남도, 동남으로는 강원도, 남쪽으로 황해북도와 맞닿아 있다. 평양직할시와 남포특급시가 중앙과 남서에 위치하고 있다. 문덕군, 숙천군, 평원군, 증산군, 온천군의 다섯 지역은 순서대로 서북쪽으로 남쪽까지 해안에 연접하여 펼쳐져 있으며, 안주시 역시 바다와 접하지는 않았으나 서쪽 지역에 있다. 대흥군, 녕원군, 맹산군은 동쪽 지역이다. |
가사 | 요나 윤색은 다 지내가고 황국단풍이 다시 돌아를 오누나
이에 지화자자 좋다 천상만민은 필수지업이 다 각자이 달라 우리는 구타여 선인이 되여 배에 올랐더니 먹는 밥은 사자밥이요 자는 잠은 칠성판이요 입고자는야 수의로다 이렁저렁 불려가다가 좌우 산천을 바라를 보니 운무는 자욱한데 동서사방을 알 수가 없다누나 영좌님아 쇠 놓아 봐라 평양에 대동강이 어데로 붙었나 이에 지화자자 좋다 이령저령 행선하여 나아가다가 한수를 내다보니 바당에 제라 하는 거느구나 이라구 하는 건 동리로구나 만냈더니 뱃전은 잘라지고 용총 끊어져 돛대는 쓰러지어 삼동강나고 이내 일신 헐 수 없어 돛대 타고 창파에 뛰어드니 갈매기란 놈은 이 내 등을 타고 상어란 놈은 발을 물고 지근지근 제 물어당길 적에 어물어물하여 죽는 자는 죽이였으나 비나니다 비나니다 일월성신부터 하나님전 비나니로다 이내 센 목숨 살려달라고 비나니로다 만향 이나 천향으로 고향 배를 만나 건지여져서 이내 새 목숨 살아났으나 동무의 생각에 내가 눈물이 나누나 이에 지화자자 좋다 고향으로 돌아올 적에 경포귀범에다 돛을 달고 한양일성에다가 북을 두둥두둥실 배울리오며 동애준천 내다 걸려 헐목을 내다 거니 산이래도 내 보든 산이며 물이래도 내 보든 물이다 돈 실러 가자누나 돈 실러 가잔다 엔평바다에 돈 실러를 가자누나 기화자자 좋다 얼마나 실었더냐 얼마나 실었더냐 육만두 팔천냥 열두 곱절은 실었대누나 지화자자 좋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