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 |
주제분류 | 민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200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1970~80년대 초에 북한에서 녹음된 자료를 입수하여 MBC가 출판한 북한민요전집 중 평안남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평안남도 문덕군 금계리의 제전이다. 북한민요전집-북녘 땅 우리소리(CD 10장, 352곡)는 방송문화진흥회의 기금 지원으로 북한으로부터 정식 입수하여 2004년 8월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장만길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장만길 |
지역개관 | 평안남도는 북쪽으로 평안북도, 자강도, 동북쪽의 함경남도, 동남으로는 강원도, 남쪽으로 황해북도와 맞닿아 있다. 평양직할시와 남포특급시가 중앙과 남서에 위치하고 있다. 문덕군, 숙천군, 평원군, 증산군, 온천군의 다섯 지역은 순서대로 서북쪽으로 남쪽까지 해안에 연접하여 펼쳐져 있으며, 안주시 역시 바다와 접하지는 않았으나 서쪽 지역에 있다. 대흥군, 녕원군, 맹산군은 동쪽 지역이다. |
가사 | 엥 어젯날 성턴 몸이 오날 아차 병이 되니
부르난 것이 어머니요 찾는 것이 냉수로다 무당을 달려 굿을 하고 세경 달라 경 읽은들 경덕인들 입어보며 중방에 태도를 가리여 각양 경기단도 쓸 데 없고 이경화가 다시 살며 화태 편작이 다시 엥상몽(?)할지라도 요내 병 고치작이 만무하다 여보시오 마누라 나 죽어 북망산천 가게 되면 서영포로 석대비단이며 삼수갑산 해정 능경 명포로 그만두고 마누라 입었던 속적삼 벗어 연에 연목 앞수에 눌러주고 전나무 굉경들에 아주 열두 매끼를 쾅쾅 묶어내여 수믈네발 역등꾼에 열발 마치어마 남문밖 해동성 보통문 성문 이별할 때 자치우단에 비전비하니 이 산 저 산 전잡하여 임의 문전 찾어갈제 금전대우에다 지집을 피고 기 우에다 조조반을 놓고 기 우에다 항우지를 깔고 기 우에다 만반짐을 실어놀 때 넘턴탄시 양복이며 녹두떡 잘 지진 고비고사리며 왕시리미나리 두룰채며 먹기 좋은 녹두나물 엽에 콩나물 이럭저력 벌여놀 제 아찬 잊었구려 신계곡신 무인처에 멀구 다래며 함재 양눌이며 피양국천에 왕방대조 전라도를 쑥 건너대니 둥글둥글 대수박을 대모장도 디난 칼로 웃꼭지는 뚝 따 던지고 씨만 송송 골라낼제 산으로 가면 산신위중이요 물로 가면 용신유한하니 산신 앞에 술을 한 잔 부어놀 제 이태백이나 포도주며 도연명의 국화주며 마고할미 천일주며 빛좋은 농세주며 이 술 저 술 다 버리고 말쑥한 정세주를 한 잔 부어 퇴병하고 두 잔 부어 청장하고 석 잔 마나 들여놓고 잔대(잔디) 한 줌을 와드득득득 뜯어 동남풍에 휘날리며 외다리 풀쩍 주저앉아 양촌탄식 우난 말이 왜 죽었느냐 왜 죽었느냐 옷밥이 그리워 죽었으며 재산 발라 죽었느냐 너는 죽어 천지로 집을 짓고 모든 산천을 빠져담고 잔딧잎을 이불 덮고 석토 황토로 토담 삼고 속짐을 노두낼제 육육공산이며 잠든 듯이 그린 듯이 누웠으니 동풍은 거문고요 두견성은 노래할 제 오니 온 줄을 누가 알고 가니 간 줄을 누가 알갔니 그러나 일번 한 번이며 가련하구나 마즈막 갔던 길에 어디 한 번 불러나보자 나오려무라 나오려무나 죽언 혼신이라두야 나를 다려를 가려무나 생각을 하니 그대 그대가 모여서 어이 해원이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