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심심풀이노래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200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1970~80년대 초에 북한에서 녹음된 자료를 입수하여 MBC가 출판한 북한민요전집 중 평양시편에 수록되어 있는 평양시 순안구역 구서리의 한글뒤풀이이다. 북한민요전집-북녘 땅 우리소리(CD 10장, 352곡)는 방송문화진흥회의 기금 지원으로 북한으로부터 정식 입수하여 2004년 8월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최동건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최동건 |
지역개관 | 평안남도는 북쪽으로 평안북도, 자강도, 동북쪽의 함경남도, 동남으로는 강원도, 남쪽으로 황해북도와 맞닿아 있다. 평양직할시와 남포특급시가 중앙과 남서에 위치하고 있다. 문덕군, 숙천군, 평원군, 증산군, 온천군의 다섯 지역은 순서대로 서북쪽으로 남쪽까지 해안에 연접하여 펼쳐져 있으며, 안주시 역시 바다와 접하지는 않았으나 서쪽 지역에 있다. 대흥군, 녕원군, 맹산군은 동쪽 지역이다. |
가사 | 가다다라마소사하니 아자차 나 잊었구나 기역 니은 디글 리을
기역자로 집을 짓고 니은자로 행랑을 달아 난간 팔작 오령하게 잘 짓고 사잤더니 열이 터져서 나 못살겠구나 가갸거겨 가이없는 이내 몸은 거이없이두 되었구나 고교구규 고생허시든 우리 낭군 구감허기가 짝이나 없구나 나냐너녀 나귀등에 솔질하여 순금안장을 뜰쳐쥐고 호년잡아 산옥전에 오관금천에 황금연입 청언잘에 연입등자 호피도둠이 새가 나누나 십삼도 강산을 유람을 가잔다 노뇨누뉴 노장은 무연인데 아니노지는 못하리라 라랴러려 날아드는 원앙새야 널과 날과 짝을 지어 백년 해로를 허잤구나 로료루류 노류장화로 노시든 임은 처처마다 았건마는 널과 날과 인연을 맺어 백년 약속을 하잤구나 다댜더뎌 다닥다닥 붙었던 정은 십리만큼에 다 떨어졌구나 도됴두듀 도장원에 노시든 님은 갱소년허기가 어렵구나 마먀머며 마자 마자 또 마잤더니 임의 생각이 또 다시 나누나 모묘무뮤 모춘에 지나간 삼월 또 다시 돌아왔구나 바뱌버벼 밥을 먹자 또 먹잤드니 임의 생각이 또 다시 나누나 보뵤부뷰 보고지고 보고지고 우리 님을 보고지고 사샤서셔 사자 사자 또 사잤더니 백년지약이 허사로다 소쇼수슈 소슬바람 소슬한데 우리 낭군 어디 갔나 아야어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