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가창유희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200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1970~80년대 초에 북한에서 녹음된 자료를 입수하여 MBC가 출판한 북한민요전집 중 황해남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황해북도 신계군 추천리의 각설이타령이다. 북한민요전집-북녘 땅 우리소리(CD 10장, 352곡)는 방송문화진흥회의 기금 지원으로 북한으로부터 정식 입수하여 2004년 8월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리종근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리종근 |
지역개관 | 황해북도는 북쪽으로 평양시, 평안남도, 남포특급시, 동쪽으로 강원도, 서쪽으로 황해남도, 남쪽으로 개성특급시와 경기도에 닿아 있다. 황해북도는 황주군의 일부지역을 제외하고는 모두 바다가 없는 내륙지역이다. 황주군, 은파군, 봉산군, 린산군은, 황해북도의 서쪽, 금천군은 남쪽, 신평군, 곡산군, 수안군, 신계군은 동쪽에 위치하고 있다. |
가사 | 에 이 때는 마침 어느 때냐
꽃은 피어 스러지고 잎은 피어 만발해 우리 부모 날 길러 영화를 볼래다 병신의 자식을 보아서 한 냥 두 냥 얻어먹으니 투둣둣 투두둣 얼시구시구 들어신다 절시구시구 들어신다 “쥔장님 계십니까? 누구냐? 동냥 좀 왔습니다. 네 성함이 무엇인지? 네 저는 복쇠 상상골 진지자손이올시다. 너 그럼 장타령이나 한번 불러보려무나. 예 불러보겠습니다.” 에 혼자나 가면 심심질 둘이가면 남대질 서이가면 가새질 너이가면 튀전질 튀전 끝은 싸움질 싸움 끝에는 재판질 우둔한 놈 주먹질 미욱한 놈 발길질 검허는 놈은 보능질 머리끈지끈 박치기 연길마당에 마당질 산림초목에 도끼질 만경창파에 돛대질 시내나강변에 빨래질 중자 문전은 대패질 지씨 문전엔 거판질 푸붓붓 푸붓붓 얼시구시구 들어신다 절시구시구 들어신다 질타령은 스러지고 지타령을 들어간다 어 올림바지는 치바지 내렴바지는 턱받이 늦어간다 막바지 둥글둥글 바가지 이 바지 저 바지 여름 바지는 홋바지 가을 바지는 겹바지 동삼 바지는 솜바지 일꾼의 바지는 소태바지 노름꾼의 바지는 당꼬바지 유리신사 나팔바지 이 바지 저 바지 걷는 비로도 대바지 진짜 바지는 아바지로다 푸붓붓 푸부붓 어헐시구시구 들어신다 품바나품바 잘헌다 지타령은 스러지고 장타령으로 넘어간다 에 논어 맹자를 읽었는지 시전 서전 잘헌다 시전 서전 읽었는지 대문대문이 잘헌다 냉수동이나 먹었는지 시원시언 잘헌다 뜨물동이나 먹었는지 걸찍걸찍이 잘헌다 기름동이나 먹었는지 미끈미끈 잘 넘어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