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가창유희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200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1970~80년대 초에 북한에서 녹음된 자료를 입수하여 MBC가 출판한 북한민요전집 중 황해남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황해북도 곡산군 계수리의 배따라기이다. 북한민요전집-북녘 땅 우리소리(CD 10장, 352곡)는 방송문화진흥회의 기금 지원으로 북한으로부터 정식 입수하여 2004년 8월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변종덕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변종덕 |
지역개관 | 황해북도는 북쪽으로 평양시, 평안남도, 남포특급시, 동쪽으로 강원도, 서쪽으로 황해남도, 남쪽으로 개성특급시와 경기도에 닿아 있다. 황해북도는 황주군의 일부지역을 제외하고는 모두 바다가 없는 내륙지역이다. 황주군, 은파군, 봉산군, 린산군은, 황해북도의 서쪽, 금천군은 남쪽, 신평군, 곡산군, 수안군, 신계군은 동쪽에 위치하고 있다. |
가사 | 요내 춘색은 다 지나가고 황국에 단풍이 돌아를 온다
옛노인이 하는 말은 허언 삼어 들었더니 금일 금년 당도하니 우리를 두고 한 말이로다 원포귀범에다 돛을 달아 북을 둥둥 울리면서 행선하여 내려갈 제 선녀조상이 하는 말이 우리네는 먹는 밥은 사재밥이요 자는 잠은 칠성판에 입는 옷은 내장포로다 타구 다니는게 칠성판에 우리같은 인생들은 기탄하여… 이렇게 댕기다가 그렁저렁 내려가며 하는 말이 영자야 쇠나 놓아보려무나 평양에 대동강이 어느 데로 붙었느냐 기화자자 좋다 이렁저렁 벌려 내려갈 때 동해여울 서해여울 두렵이를 얼른 지나 합수머리 당도하니 검은 물은 웅기웅기 서산물은 두둥 우르릉 땅땅 번개는 번쩍일 때 모진 악풍 만나노니 깃발은 펄펄 환고향하고 돛댄 부러지여 삼동강날 때 돛대 타구 뛰여드니 갈매기란 놈은 등을 툭툭 밟으며 상어란 놈은 발을 지긋지긋 물어당겨 혼자 자탄하는 말이… 아니나든 고향에 있는 처자 권속의 생각이 저절로 나누나 지화자 좋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