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운수노동요 > 육운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200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1970~80년대 초에 북한에서 녹음된 자료를 입수하여 MBC가 출판한 북한민요전집 중 황해남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황해남도 안약군 패엽리의 달구지모는소리-감내기이다. 북한민요전집-북녘 땅 우리소리(CD 10장, 352곡)는 방송문화진흥회의 기금 지원으로 북한으로부터 정식 입수하여 2004년 8월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화영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김화영 |
지역개관 | 황해남도는 북한의 서남에 위치한 곳이며, 북으로 평안남도, 동으로 황해북도, 서쪽에는 서해안에 면해 있다. 평야지역이 많아 농업노동요의 수가 많다. |
가사 | 신자령 나무리 달구지
떨떨떨떨떨떨이 이랴 이랴 이랴! 연분홍 저고리 남깃동소매는 너 입기 좋구 남보기 좋구나 이랴 다른 데 가서 열닷 냥 받을테민 나 시집간데 와 스무냥 받고 날만 따라서 오려무나 스러지구 앵돌아지구 꼬부라지고 떨어진 죽지를 처절철 끌며 임을 따라서 가볼까나 이랴 이랴 이랴 이랴! 이랴 이랴 이랴! 올려바지 치바지 내려바지 합바지 백바지 타르개바지 이랴 이랴 이랴 이랴 이랴 여물 닷 되 물 닷 되 콩 닷 되 삼오십오 열닷 되 먹구 이렇게두 못 끌구 물찌만 펄펄펄 빼느냐 이랴 “아주바이 글래 싣구가는게 뭐우?” “잘 썩구 무깡너넘은 깡잘젓이요” “있시다. 참 좋시다. 맛좋구 참 달큼하고 얼른 을큼 넘어가는 탁걸리 막걸리올시다.” (한그릇 쭉쭉 들여마시구) “이랴 이랴, 이담에 돈은 오다가 디리리다.” 이랴 수수밭 도지는 내 물어주께 정칠월까장만 도와를 주려무나 이랴 이랴 이랴 이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