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가창유희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200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1970~80년대 초에 북한에서 녹음된 자료를 입수하여 MBC가 출판한 북한민요전집 중 황해남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황해남도 장연군 금사리의 사설난봉가이다. 북한민요전집-북녘 땅 우리소리(CD 10장, 352곡)는 방송문화진흥회의 기금 지원으로 북한으로부터 정식 입수하여 2004년 8월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리종석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리종석 |
지역개관 | 황해남도는 북한의 서남에 위치한 곳이며, 북으로 평안남도, 동으로 황해북도, 서쪽에는 서해안에 면해 있다. 평야지역이 많아 농업노동요의 수가 많다. |
가사 | 개야 개야 얼룩에 검정에 수캐야
밤사람 보구서 네가야 함부로 짖느냐 아하아항 에헤요 에요 “지 가이! 월명동천에 개소리란 말이 웬 말이냐. 사장구 복판이 멋이 멋들어 뚝 떨어졌구나.” 얼싸 얼싸 좋다 두둥둥 둥게야 몽땅 내 사랑아 앵두나무 밑에 병아리 한 쌍 노는 걸 총각에 낭군이라 몸보신감으로 올려라 아하아항에헤요 에헤요 “어허이 뭣이가 채갔냐 남산 수리개가 채갔구나 그 나머진 어떡했냐 그 나머진 내가 술안주 해서 후루루 볶아 먹었다” 얼싸 얼싸 좋다 두둥둥 둥게야 몽땅 내 사랑아 밍경에 종집게는 내가야 다 담당해 주꺼니 눈썹을 지워도 여덟에 팔자로 갈려라 아하아항 에헤요 에헤요 “지웠냐? 지웠다. 어드케 지웠냐? 이리꼬리 골라 짓다 가운데로 신작로를 냈다. 야 네 나이 멫 살이냐 이구십팔 열여덟살이다. 야 그 나이 아깝다. 나하고 자동차 타고 산보나 한 번 가보자.” 자동자 뿌욱 얼싸 얼싸 좋다 두둥둥 둥게야 몽땅 내 사랑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