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어업노동요 > 어로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200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1970~80년대 초에 북한에서 녹음된 자료를 입수하여 MBC가 출판한 북한민요전집 중 함경남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함경남도 단천시 양천동의 그물당기는소리이다. 북한민요전집-북녘 땅 우리소리(CD 10장, 352곡)는 방송문화진흥회의 기금 지원으로 북한으로부터 정식 입수하여 2004년 8월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박은천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박은천 |
지역개관 | 함경남도는 동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북으로는 함경북도와 량강도, 서쪽으로는 자강도, 남쪽으로는 평안남도와 강원도, 동쪽으로는 동해안에 닿아 있다. 농업노동요보다는 어업노동요와 유희요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
가사 | (후렴) 다려
다리구내자 / 다리어라 다리어 / 다리구내지 다릴수락 누이는(?) / 춘추절이 적막하여 개자춘(介子推)의 넋이로다 / 다리구내자 동에동산 돋은 해는 / 일락서산 넘어가고 월출동방 달이 솟고 / 우리 할 일이 다 늦었네 / 다리구내자 먼 산에 봄들언 / 북망산천 송진 나고 춘하추동 호시절이 / 장미같은 내 얼굴 가시나 같건만 / 다리구내자 / 다리구 다리자 물 밑에는 푸르런 / 푸른 거는 버들이요 노른 거는 꾀꼴새 / 꾀꼴새는 지 이름을 절루 짓구 앉았구나 / 다리구내자 그물코는 삼천코요 / 벼리 하나이 으뜸이요 다리구내자 / 다리고 다리자 달아 달아 밝은 달아 / 이태백이 노는 달아 / 다리구내자 노자 노자 젊어 노자 / 젊어 청춘에 놀아보자 / 다리구내자 얼싸절싸 출신(?)들아 / 이런 구낭(?)에 놀아보지 / 다리구내자 목에서는 반장수야(?) / 목짐 할락 들어놓구(?) 뒷집 할락 맥을 써라(?) / 다리구내자 임아 임아 정든 임아 / 임의 가슴 만져보자 꽃같이 피던 몸이 / 피골 절골이 되었소 / 다리구내자 어떤 사람 팔자 좋아 / 고대광실 높은 집에 우리두 본당한1) / 남난 시(時)에 났건마는 / 다리구내자 닭 개 짐승 다 자는 밤에 / 오늘밤 야가이(?) 북두칠성이 감돌아들구 / 이렇기 자지 못하구 / 다리구내자 이 명춘2)은 지구서 / 이리 저리 늘러치구 불쌍허구 설움나구 / 다리구내자 / 다리구내자 우리두 한복아(?) / 남 난 시에 났다면 이런 고상 할 수 있나 / 다리구내자 / 다리구내지 1)본래는 2)명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