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어업노동요 > 항해과정 > 노젓는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200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1970~80년대 초에 북한에서 녹음된 자료를 입수하여 MBC가 출판한 북한민요전집 중 함경남북도편에 수록되어 있는 함경남도 단천시 천진동의 노젓는소리-만선소리이다. 북한민요전집-북녘 땅 우리소리(CD 10장, 352곡)는 방송문화진흥회의 기금 지원으로 북한으로부터 정식 입수하여 2004년 8월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한순식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한순식 |
지역개관 | 함경남도는 동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북으로는 함경북도와 량강도, 서쪽으로는 자강도, 남쪽으로는 평안남도와 강원도, 동쪽으로는 동해안에 닿아 있다. 농업노동요보다는 어업노동요와 유희요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
가사 | (후렴) 에야
에야 / 젓자 보자 / 홍기 청기를 / 직어놓고 우리네 포구로 / 들어만 간다 원아도루 들어가면은 / 재비(?) 하날 산다지 술단지만 나온다 “그때는 어디 가게 되믄, 우리 배에다 괴길 싣구서 깃발을 하구 소리치구 들어가지 않겠어? 들어가믄 대기하는 사람들이 술당그릴 모두 안구 죽 왔다가 술병에다 붜서 '한 잔 줘, 한 잔 줘' 그럭하구서리, 온 고삼(?)… 그때는 상사달으 그 섣달으 그 사람들 인제 고공살이 했다 말이요. 그때는 그렇게 했다 말이요. 그때 세월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