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가창유희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200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1970~80년대 초에 북한에서 녹음된 자료를 입수하여 MBC가 출판한 북한민요전집 중 전문소리꾼편에 수록되어 있는 사설난봉가-개타령이다. 북한민요전집-북녘 땅 우리소리(CD 10장, 352곡)는 방송문화진흥회의 기금 지원으로 북한으로부터 정식 입수하여 2004년 8월에 발매되었다. |
실연방법 | 선입후제창 |
---|---|
가사 | 헤 에헤에어야 얼럴거리고 방애로다
에 왜 생겼나 왜 생겼나 요다지 알뜰히 왜 생겼나 왜 생겼나 왜 생겼나 요다지 알뜰히 왜 생겼나 무쇠나 풍구나 돌풍구 사람의 간장을 다 녹여내누나 에 어야 어허야 디야 내 사랑아 에 영감을 다리고 술장술 할까 총각을 다리고 뺑소닐 칠까 영감을 데리고 술장술 가자니 밤잠을 못자서 고생이 되고 총각을 다리고 뺑소닐 갈라니 나 많은 잡년이 실없어지누나 에에야 어야 두야 내 사랑아 에 개야 개야 개야 먹껌정 올라 수캐야 밤사람 보구서 네가 짓지를 말아라 아하아항 아하야 에헤이에야 “지 가이, 우르르르 우르르르 알알” 얼싸좋다 두둥둥 네가야 네가 내 사랑아 아하아항 아하야 에헤이에야 앵두나무 아래 병아리 한 쌍 노는 건 총각에 낭군의 몸보신 감이로다 아하아항 아하야 에헤이 에야 “지 중, 워이, 다 채갔다, 뭣이가, 저 방상 수리가, 한 놈은 어쨌노, 한 놈은 생쥐란 놈이 뒷구녕 파내 자빠질 놈으 거 겨우내 여름내 봄내 가으내 길른 게 아까워서, 그래서, 재령 제일식당에다 버려 뚝뚝 찍어 뎀뿌라래도 잔뜩 맨들어다 놓고, 그래서, 한 잔 부어라 먹자 떠르르했더니, 그래서, 건건들어지구 농농그라졌단다” 맞았다 아따 얼싸 좋다 두둥둥 네가야 네가 내 사랑아 아하아항 아하야 에헤이에야 종집게 쇠깡은 내가 사다줄께 임아나 눈썹을 여덜에 팔자로 지어라 아하아항 아하야 에헤이에야 “지었니? 지었다. 이마 눈썹 짓는 법이라니 야들 팔 자 그은 듯이 제비꼬리 난 듯이 지아댈 터인데 속눈썹 겉눈썹 몽땅 뽑아 눈썹없어 저 펴양곡이 됐네. 세꼉을 보세 세꼉이 어디 있드랬노. 새장구 북편을 딜여다보니 양눈이 떵떵 붰구나“ 요것 봐라 얼싸 좋다 에헤야 네가야 네가 내 사랑아 노랑에 대가리 보배추밑구녕 상투 뒷치동공 사달라고 작파내거리하누나 아하아항 아햐아 에헤이에야 “통이라니 안고 노는 새장구통이나 북통이나 남문통이나 거문통이나 우체통이나 싱길통이나 아이 어마이 젖통이나 니 눈통이나 코통이나 대굴통인 줄 알지 말아라” 얼싸 좋다 두둥둥 네가야 네가 내 사랑아 아하아항 아하야 에헤이에야 암컨여를에(?) 잡년에 시애비 공대를 잘한다구 시애비 민대머리 식칼자루로 찧어라 아하아항 아하야 에헤이에야ᄼ “찧었니? 찧었다. 어떻게 찧었니? 이렇게 찧구 저렇게 찧구 요리 고리 찧다 시애비 눈통을 콱 찧었구나. 시애비 눈통을 찧었으면 요렇게 멀었겠구나, 양 눈이.” 얼싸좋다 두둥둥 네가야 내 사랑아 아하아항 아하야 에헤이에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