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수집아카이브 |
---|---|
자료명(이명칭) | 한국음악사학보(韓國音樂史學報) 일해송방송박사화갑기념(一海宋芳松博士華甲紀念 特輯號) 특집호(제29집) 학회지, 논문집 |
자료명(한문) | 韓國音樂史學報 第29輯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200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김영운으로부터 기증받은 한국음악사학보(韓國音樂史學報) 제29집 학술지이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20021109 |
생산자(처) | 한국음악사학회 |
생산지역 | 국내 > 서울특별시 > 마포구 |
생산지역 상세 | 토정동 |
언어 | 한국어 |
형태분류 | 수집아카이브 > 문서류 > 정기간행물 > 학술지 |
검색어 | 한국음악사학보(韓國音樂史學報) 제29집 학술지 , 한국음악사학보(韓國音樂史學報) 일해송방송박사화갑기념(一海宋芳松博士華甲紀念 特輯號) 특집호(제29집) 학회지 , 논문집 , 韓國音樂史學報 第29輯 |
자료설명 | 본 자료는 김영운으로부터 기증받은 2002년 11월 9일 발간된 한국음악사학보(韓國音樂史學報)-(一海宋芳松博士華甲紀念 特輯號)일해송방송박사화갑기념 특집호 제29집(第29輯)이다. 본 자료는 총 822쪽으로 구성되어 있다.
발간사 일해송방송박사 년보 및 논저목록 헌정논문 강등학, 노래의 말하기 기능과 민요 전승의 방향 모색 곽태천, 평조회상의 선법 연구 권도희, 19세기의 음악유통 권태욱, 종묘 일무의 무원에 관한 고찰 김성준, 중국 조선족 전통음악의 현황과 전망 김종수, 외연과 병연의 의례구성과 특징 김창욱, 홍난파 연구의 현황과 과제 김태환, 「대악후보」 ""정읍""의 완편과 그 선법 김호석, 국방부국악대의 창설과 실태 남상숙, 한국음악학 문헌해제 연구방법론 문숙희, 진작류 고려가요의 악곡형식 박미경, 진도씻김굿 무가의 음악형식과 구조 연구 박소정, 동아시아 전통 예술철학에서 악론 연구가 지니는 의미 백대웅, 남도음악의 특징에 대한 관견 손선숙, 궁중정재에 나타난 인무 연구 송지원, 정조의 악서 편찬과 그 의미 이경희, 혜강과 한슬릭의 음악미학 비교 고찰 이보형, 「악학궤범」 60조도 구성원리와 오음약보의 의미 이상룡, 녹성 김성진의 예술과 생애 이숙희, 조선후기 취고수의 기능 이인숙, 한국 전통음악의 오선보화 작업에 대한 반성적 접근 이정희, 조선후기 종묘악현 고찰 이지선, 사이바라의 율과 려의 특징 이진원, 중국 소수민족 민가와 아리랑 임미선, 처용무 반주음악의 특징 임수정, 태평무(太平舞)의 반주음악 연구 정영진, 가야금명인 강태홍의 공연양상 정재국, 피리의 시김새를 통해 본 수제천 홍주희, 구자악 관련의 기존 연구성과 검토 서마리아, 한양굿 The Construction of Sanjo and Its Numbering System of the professional Korean Folk Musician Robert C. Provine, A Chinese Document or a Korean Document? Maria Kongju Seo, Ritual Music in Hanyang Kut 조유평, 비파적역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