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수집아카이브 |
---|---|
자료명(이명칭) | 국악원논문집(國樂院論文集) 제11집 학술지 |
자료명(한문) | 國樂院論文集 第11輯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김영운으로부터 기증받은 국악원논문집(國樂院論文集) 제11집 이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991230 |
생산자(처) | 국립국악원 |
생산지역 | 국내 > 서울특별시 > 마포구 |
생산지역 상세 | 토정동 |
언어 | 한국어 |
형태분류 | 수집아카이브 > 문서류 > 정기간행물 > 학술지 |
검색어 | 국악원논문집(國樂院論文集) 제11집 , 국악원논문집(國樂院論文集) 제11집 학술지 , 國樂院論文集 第11輯 |
자료설명 | 本 자료는 김영운으로부터 기증받은 1999년 12월 30일 국립국악원에서 발간한 국악원논문집(國樂院論文集) 제11집(第11輯)이다. 본 책은 총 288쪽으로 구성되어 있다. 학술회의 논문이 수록되어 있다.
일반논문 이혜구, 현행 상영산에 나오는 '동' 태주음 이인철, 신라의 음성서 송성범, 학교 현장에서의 국악교육실태 조사연구 방희석 외 2명, 국악곡 음고 측정 프로그램의 개발 학술회의 논문 맹온재, 고불 맹사성 연구 권오성, 맹사성의 음악에 관련된 기록의 관견 전인평, 열국시대와 남북국시대의 외래 음악 송방송, 범아시아적 시각의 필요성을 보여준 연구성과 김호동, ""열국시대와 남북국시대의 외래음악""에 대한 논평 신대철, 고려의 당악과 아악의 수용 전경옥, 조선조 전통공연예술의 계통과 성립과정 송지원, 조선 중화주의의 음악적 실현과 청 문물 수용의 의의 이상만, 근대 외래음악의 유입과 한국적 수용 음반평 및 서평 이보형, 기초와 체계를 갖춘 경기도당굿 연구자료 정화순, 서인화, “고려의 당악과 아악의 수용”에 대한 논평 임미선, 사진실, “조선조 전통공연예술의 계통과 성립과정”에 대한 논평 김우진, 지두환, “조선 중화주의의 음악적 실현과 청 문물 수용의 의의”에 대한 논평 이인원, 윤중강, “근대 외래음악의 유입과 한국적 수용”에 대한 논평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