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수집아카이브 |
---|---|
자료명(이명칭) | 한국음반학(韓國音盤學) 제22호 학회지, 논문집 |
자료명(한문) | 韓國音盤學 第22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201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김영운으로부터 기증받은 한국음반학(韓國音盤學) 제22호 학술지이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20121208 |
생산자(처) | 한국고음반연구회 |
생산지역 | 국내 > 서울특별시 > 중구 |
생산지역 상세 | 인현동 |
언어 | 한국어 |
형태분류 | 수집아카이브 > 문서류 > 정기간행물 > 학술지 |
검색어 | 한국음반학(韓國音盤學) 제22호 학술지 , 한국음반학(韓國音盤學) 제22호 학회지 , 논문집 , 韓國音盤學 第22 |
자료설명 | 본 자료는 김영운으로부터 기증받은 2012년 12월 08일 한국고음반연구회에서 발간한 한국음반학(韓國音盤學) 제22호이다. 본 책은 총 298쪽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보형 회장 고이즈미후미오음악상 기념 특집호>로 발간되었다.
한국고음반연구회 이보형 회장 고이즈미후미오음악상 수상 기념 자료 현정 이보형 선생의 고이즈미후미오음악상 수상을 축하하며 한국음악학의 초석을 다진 우리 세대의 거목 우에무라유키오, 고이즈미후미오기념자료실과 고이즈미후미오음악상 임혜정, 고이즈미후미오의 생애와 업적 학회자료, 제23회 고이즈미후미오음악상 시상식 식순 우에무라유키오, 제23회 고이즈미후미오음악상 수상자 이보형 소개 학회자료, 이보형 저술 목록 이보형, 고이즈미후미오음악상 수상 기념 강연: 민족음악의 문법체계 탐색을 위한 소명 논문 : 음악 및 문학 부문 김인숙, <느리개타령>의 유전과 통속민요의 범주화 성기련, 서도식 송서 <추풍감별곡> 고찰 손인애, 경제 범패에 수용된 개성지역 범패 신은주, 심상건과 심화영의 가야금병창 <백구타령> 비교 왕서은, 송만갑 창과의 비교를 통한 박봉술 창 <춘향가> 전승계보 연구 이진원, 박춘재 <각색 장사치 흉내>의 음악적 특징 및 공연예술사적 성격 -'물건파는 소리'의 관점으로- 논문 : 음반 부문 정창관, 국악 CD음반 출반 현황 및 목록(2011년 10월 1일 - 2012년 9월 30일) 자료 노재명, 국악 유성기음반 관련 명인명창 주요 증언자료 해제 이진원, 이진원 소장 경서도민요ㆍ잡가 및 신민요 유성기 음반 목록 부록음반 한국고음반연구회 음향자료선집(19) 이보형 소장 <유성기 음반에 담긴 한국의 아악과 풍류> CD1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