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수집아카이브 |
---|---|
자료명(이명칭) | 한국시가연구(韓國詩歌硏究) 제3집 학회지, 논문집 |
자료명(한문) | 韓國詩歌硏究 第3輯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김영운으로부터 기증받은 한국시가연구(韓國詩歌硏究) 제3집 학술지이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980610 |
생산자(처) | 한국시가학회 |
언어 | 한국어 |
형태분류 | 수집아카이브 > 문서류 > 정기간행물 > 학술지 |
검색어 | 한국시가연구(韓國詩歌硏究) 제3집 학술지 , 한국시가연구(韓國詩歌硏究) 제3집 학회지 , 논문집 , 韓國詩歌硏究 第3輯 |
자료설명 | 본 자료는 김영운으로부터 기증받은 1998년 6월 10일 한국시가학회에서 발행한 한국시가연구 제3집(第3輯)이다. 본 책은 총 449쪽으로 구성되어 있다.
논문 김영수, 「공무도하가」 신해석 여기현, 사뇌가의 음악성 이도흠, 「모죽지랑가」의 창작배경과 수용의미 사재동, 고려가요의 서사적 구조와 연행양상 성호경, 원 산곡이 한국시가에 끼친 영향에 대한 고찰 윤성현, 「유구곡」의 구조와 미학의 본질 김홍규, 색인어 정보 연산에 의한 고시조 데이터베이스의 분석적 연구 이종묵, 고전시가에서 용사와 점화의 미적 특질 박노준, 사설시조와 에로티시즘 이형대, 초한고사 소재 시조의 창작 동인과 시적인식 김대행, 가사 양식의 문화적 의미 전일환, 「이산구곡가」의 가치구명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