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수집아카이브 |
---|---|
자료명(이명칭) | 한국시가연구(韓國詩歌硏究) 제6집 학회지, 논문집 |
자료명(한문) | 韓國詩歌硏究 第6輯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200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김영운으로부터 기증받은 한국시가연구(韓國詩歌硏究) 제6집 학술지이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20000229 |
생산자(처) | 한국시가학회 |
언어 | 한국어 |
형태분류 | 수집아카이브 > 문서류 > 정기간행물 > 학술지 |
검색어 | 한국시가연구(韓國詩歌硏究) 제6집 학술지 , 한국시가연구(韓國詩歌硏究) 제6집 학회지 , 논문집 , 韓國詩歌硏究 第6輯 |
자료설명 | 본 자료는 김영운으로부터 기증받은 2000년 2월 29일 한국시가학회에서 발행한 한국시가연구 제6집(第6輯)이다. 본 책은 311쪽으로 구성되어 있다.
논문 김영수, 황조가 연구 재고 -악부시 '황조가'의 해석을 수용하여 신은경, '두견'의 시적 내포 비교시학적 관점에서 이기현, 악부시의 범주설정과 유형분류 황인건, 병란 직후 지식인의 시적 대응 -청음 김상헌의 「설교집」을 중심으로- 이의강, 「두시언해」와 「찬주분류두시」에 대한 교감학적 탐색 신영명, 17세기 강회시조에 나타난 '전원'과 '전가'의 형상 박혜숙, 이학규의 악부시와 김해(金海) 강민구, 신정하의 시 비평에 대한 연구 최강현, 동유가의 지은이를 살핌 -하바드대학본 금강산기행가사를 중심하여- 유정선, 18, 19세기 기행가사 작자층의 성격변화 연구 -<금강별곡>과 <금강산유산록>을 중심으로- 김기영, 금강산 만물상의 가사문학적 형상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