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수집아카이브 |
---|---|
자료명(이명칭) | 한국시가연구(韓國詩歌硏究) 제8집 학회지, 논문집 |
자료명(한문) | 韓國詩歌硏究 第8輯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200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김영운으로부터 기증받은 한국시가연구(韓國詩歌硏究) 제8집 학술지이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20000831 |
생산자(처) | 한국시가학회 |
언어 | 한국어 |
형태분류 | 수집아카이브 > 문서류 > 정기간행물 > 학술지 |
검색어 | 한국시가연구(韓國詩歌硏究) 제8집 학술지 , 한국시가연구(韓國詩歌硏究) 제8집 학회지 , 논문집 , 韓國詩歌硏究 第8輯 |
자료설명 | 본 자료는 김영운으로부터 기증받은 2000년 8월 31일 한국시가학회에서 발행한 한국시가연구 제8집(第8輯)이다. 본 책은 403쪽으로 구성되어 있다.
논문 양희철, 향가의 주가성을 다시 생각해 본다 김선기, 「고려사」 낙지의 속악가사에 관한 종합적 고찰 김명준, <서경별곡>의 구조적 긴밀성과 그 의미 이구의, 대동강과 여성 형상 조평환, 조선초기의 악장과 불교사상 김학성, 동아시아 시학으로 본 <용비어천가>의 시적 특성 -<용비어천가>의 짜임새와 시적 묘미를 바탕으로- 한창훈, 고전시가의 문학교육적 가치 -<도산십이곡>을 예로 하여- 김혜숙, 율곡의 교유시 연구I -교유의 정의와 시적 정조를 중심으로 권순회, <단가삼결>의 창작 맥락과 시적 지향 남정희, 이정보 시조 연구 -현실 인식의 변화를 중심으로- 성무경, 가사의 가창 전승과 '착간(錯簡)' 현상 -<환산별곡>외 강호한정을 표방한 17∙8세기 '가사'를 중심으로- 김용찬, 시조에 나타난 여성 이미지의 양상과 의미 이정선, 조선풍의 개념과 문학적 지향 최상은, 계녀가의 교훈과 정서 -도학가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정재호, 잡가집의 특성과 문학사적 의의 휘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