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수집아카이브 |
---|---|
자료명(이명칭) | 한국시가연구(韓國詩歌硏究) 제11집 학회지, 논문집 |
자료명(한문) | 韓國詩歌硏究 第11輯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200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김영운으로부터 기증받은 한국시가연구(韓國詩歌硏究) 제11집 학술지이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20020228 |
생산자(처) | 한국시가학회 |
언어 | 한국어 |
형태분류 | 수집아카이브 > 문서류 > 정기간행물 > 학술지 |
검색어 | 한국시가연구(韓國詩歌硏究) 제11집 학술지 , 한국시가연구(韓國詩歌硏究) 제11집 학회지 , 논문집 , 韓國詩歌硏究 第11輯 |
자료설명 | 본 자료는 김영운으로부터 기증받은 2002년 2월 28일 한국시가학회에서 발행한 한국시가연구 제11집(第11輯)이다. 본 책은 총 355쪽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논문의 끝에는 해당 논문의 영어요약본이 실려있다.
고전시가와 예술사의 관련 양상(3)-18~19세기를 중심으로 성무경, 18·19세기 음악환경의 변화와 가사의 가창전승 신경숙, 18·19세기 가집, 그 중앙의 산물 권오경, 19세기 고악보 소재 시조 연구 김현주, 18세기 고전시가·판소리·풍속화의 상동성 논문 김학성, 18·19세기 예술사의 구도와 시가의 미학적 전환 고연희, 19세기에 꽃 핀 화훼의 시·화 임주탁, 역사적 생성 문맥을 고려한 <만전춘별사>의 독법과 해석 성기옥, <도산십이곡>의 구조와 의미 신연우, 이황의 <매화시>와 <도산십이곡>의 관련성 최상은, 노계가사의 창작기반과 문학적 지향 진영미, 농암 김창협의 시 창작 방법론 김문기, 조선후기 여성풍속 시가에 나타난 삶의 형상과 작가의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