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수집아카이브 |
---|---|
자료명(이명칭) | 한국시가연구(韓國詩歌硏究) 제13집 학회지, 논문집 |
자료명(한문) | 韓國詩歌硏究 第13輯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200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김영운으로부터 기증받은 한국시가연구(韓國詩歌硏究) 제13집 학술지이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20030228 |
생산자(처) | 한국시가학회 |
언어 | 한국어 |
형태분류 | 수집아카이브 > 문서류 > 정기간행물 > 학술지 |
검색어 | 한국시가연구(韓國詩歌硏究) 제13집 학술지 , 한국시가연구(韓國詩歌硏究) 제13집 학회지 , 논문집 , 韓國詩歌硏究 第13輯 |
자료설명 | 본 자료는 김영운으로부터 기증받은 2003년 02월 28일 한국시가학회에서 발행한 한국시가연구 제13집(第13輯)이다. 본 책은 총 362쪽으로 구성되어 있다. 학회발표 눈문이 수록되어있다.
논문 이도흠, 향가 텍스트와 서사 맥락의 합일 문제 박경주, 전승방식과 음악성을 통해 본 고려시대 시가장르의 흐름 임주탁, <청산별곡>의 독법과 해석 박종우, 전기소설 삽입시의 기능과 성격 -『금오신화』 소재 삽입시를 중심으로- 김수경, 시조에 나타난 병렬법의 시학 김흥규, 사설시조의 애욕과 성적 모티프에 대한 재조명 권정은, 누정가사의 공간인식과 미적체험 박연호, 조선후기 가사의 장르적 특성 윤덕진, 19세기 가사집을 통해 본 가사 향유의 실상 박애경, 잡가의 개념과 범주의 문제 이형대, 휘모리잡가의 사설 짜임과 웃음 창출 방식 휘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