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수집아카이브 |
---|---|
자료명(이명칭) | 한국시가연구(韓國詩歌硏究) 제16집 학회지, 논문집 |
자료명(한문) | 韓國詩歌硏究 第16輯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200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김영운으로부터 기증받은 한국시가연구(韓國詩歌硏究) 제16집 학술지이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20040828 |
생산자(처) | 한국시가학회 |
언어 | 한국어 |
형태분류 | 수집아카이브 > 문서류 > 정기간행물 > 학술지 |
검색어 | 한국시가연구(韓國詩歌硏究) 제16집 학술지 , 한국시가연구(韓國詩歌硏究) 제16집 학회지 , 논문집 , 韓國詩歌硏究 第16輯 |
자료설명 | 본 자료는 김영운으로부터 기증받은 2004년 08월 28일 한국시가학회에서 발행한 한국시가연구 제16집(第16輯)이다. 본 책은 총 373쪽으로 구성되어 있다. 학회발표 눈문이 수록되어있다.
논문 박재민, <모죽지랑가>의 10구제 가능성에 대하여 신재홍, <혜성가>의 역사적 배경 양희철, 향가 10구체설의 논거 엄경흠, 경상도 상여소리와의 비교를 통한 <청산별곡>의 이해 임주탁, <삼장>·<사룡>의 생성 문맥과 함의 황병익, <만전춘별사> 5연의 어휘 재고 김상진, 김득연의 <산중잡곡> 재조명 김종진, <광대모연가>의 창작배경과 문학적 특성 박애경, 장편가사 <동유감흥록>에 나타난 식민지 근대체험과 일본 임재욱, 가사의 가창 전통과 부분창의 가능성 이형대, 근대계몽기 시가의 풍자 대상과 방법 휘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