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수집아카이브 |
---|---|
자료명(이명칭) | 한국시가연구(韓國詩歌硏究) 제17집 학회지, 논문집 |
자료명(한문) | 韓國詩歌硏究 第17輯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200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김영운으로부터 기증받은 한국시가연구(韓國詩歌硏究) 제17집 학술지이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20050228 |
생산자(처) | 한국시가학회 |
언어 | 한국어 |
형태분류 | 수집아카이브 > 문서류 > 정기간행물 > 학술지 |
검색어 | 한국시가연구(韓國詩歌硏究) 제17집 학술지 , 한국시가연구(韓國詩歌硏究) 제17집 학회지 , 논문집 , 韓國詩歌硏究 第17輯 |
자료설명 | 본 자료는 김영운으로부터 기증받은 2005년 02월 28일 한국시가학회에서 발행한 한국시가연구 제17집(第17輯)이다. 본 책은 총 342쪽으로 구성되어 있다. 학회발표 눈문이 수록되어있다.
기획 : 시가연구의 새로운 전망과 방법 박이정, 석문정시가단의 성립과 그 의미 박연호, 원림문학의 공간의 위상과 문화 교육적 의미 신두환, 고전시가에서 문자 메시지와 이미지의 상관관계에 관한 일 연구 유정선, 시조에 나타난 자연과 생명 논문 박노준, 시가 연구 방법론 수제 이택동, 한시에 투영된 자연과 현재적 함의 황병익, < 혜성가>의 쟁점과 의미 고찰 허남춘, <한림별곡>과 조선조 경기체가의 향방 강석근, 불교 생태학의 시문학적 수용과 그 해석 정소연, 신흠 시조의 연작성 고구 휘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