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수집아카이브 |
---|---|
자료명(이명칭) | 한국시가연구(韓國詩歌硏究) 제21집 학회지, 논문집 |
자료명(한문) | 韓國詩歌硏究 第21輯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200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김영운으로부터 기증받은 한국시가연구(韓國詩歌硏究) 제21집 학술지이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20061130 |
생산자(처) | 한국시가학회 |
언어 | 한국어 |
형태분류 | 수집아카이브 > 문서류 > 정기간행물 > 학술지 |
검색어 | 한국시가연구(韓國詩歌硏究) 제21집 학술지 , 한국시가연구(韓國詩歌硏究) 제21집 학회지 , 논문집 , 韓國詩歌硏究 第21輯 |
자료설명 | 본 자료는 김영운으로부터 기증받은 2006년 11월 30일 한국시가학회에서 발행한 한국시가연구 제21집(第21輯)집이다. 본 책은 총 420쪽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논문의 끝에는 해당 논문의 요약본이 실려있다.
논문 조동일, 한시에 대응한 민족어시의 운율 천본호사, 동아시아 시학 구축을 위해 - 음수율이라는 숙명 사사위, 문인시가 전통과 중국의 실용주의 시론 황혁진, 난이라는 극적 상황에 대한 시적 형상화 방식 이연숙, 향가와「만엽집」작품의 불교 형상화 방식 비교 연구 이도흠, 시조와 하이쿠의 미학에 대한 비교 연구 손오규, 한·중 산수문학에서의 산수형상화 안혜진, 위백규 <농가구장>의 권농가적 특성과 그 의의 김형태, 「시명다식」의 문헌적 특성과 가치 연구(1) 정무룡, 합천 화양동 윤씨가 세전 <기수가>의 논쟁 양상 연구 고은지, 20세기 유성기 음반에 나타난 대중가요의 장르 분화 양상과 문화적 의미 김문태, 북한 고전시가관의 변모와 현대적 수용양상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