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수집아카이브 |
---|---|
자료명(이명칭) | 한국시가연구(韓國詩歌硏究) 제37집 학회지, 논문집 |
자료명(한문) | 韓國詩歌硏究 第37輯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201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김영운으로부터 기증받은 한국시가연구(韓國詩歌硏究) 제37집 학술지이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20141130 |
생산자(처) | 한국시가학회 |
언어 | 한국어 |
형태분류 | 수집아카이브 > 문서류 > 정기간행물 > 학술지 |
검색어 | 한국시가연구(韓國詩歌硏究) 제37집 학술지 , 한국시가연구(韓國詩歌硏究) 제37집 학회지 , 논문집 , 韓國詩歌硏究 第37輯 |
자료설명 | 본 자료는 김영운으로부터 기증받은 2014년 11월 30일 한국시가학회에서 발간한 한국시가연구 제37집(第37輯)이다. 본 책은 총 342쪽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집 : 한국 시가사의 전통과 근대>이 수록되었다.
특집 : 한국 시가사의 전통과 근대 이형대, 근대계몽기 시가의 역사의미론적 이해 최현식, 도래하는 '대조선', 귀환하는 '영지' -최남선 『조선유람가』의 문화정치학 유성호, 근대시 형성 과정의 제문제 논문 서철원, 향가 그리고 『삼국유사』를 통해 본 신라인의 내세 관념 전재강, <보현시원가>에 나타난 시적 자아의 성격 고운기, 향가의 근대ㆍ2 -오구라 신페이가 『향가 및 이독의 연구』에 붙인 자필메모 조성진, 음사 수록에서 교화담론의 한계와 그 이면의 의미 -김천택과 풍몽룡의 경우 최현재, ≪만언사≫의 복합적 성격과 현실적 맥락에서의 의미 송안나, 18세기 말 ~ 19세기 초 가집 편찬과 악곡 변화의 특징적 국면 -가람본 『청구영언』을 대상으로- 김태웅, 18세기 후반~19세기 초 가집 편찬과 『동국가사』의 가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