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수집아카이브 |
---|---|
자료명(이명칭) | 韓國의 農謠(한국의 농요) 제1집(第1輯) 도서 |
자료명(한문) | 韓國 農謠 1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8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김영운으로부터 기증받은 한국의 농요(韓國의 農謠) 제1집이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851228 |
생산자(처) | 이소라 |
생산지역 | 국내 > 경기도 > 부천시 |
생산지역 상세 | 상동 |
언어 | 한국어 |
형태분류 | 수집아카이브 > 문서류 > 단행본 > 음악교과서 |
검색어 | 한국의 농요(韓國의 農謠) 제1집 , 韓國의 農謠(한국의 농요) 제1집(第1輯) 도서 , 韓國 農謠 1 |
자료설명 | 본 자료는 김영운으로부터 기증받은 1985년 12월 28일 이소라가 발간한 한국의 농요 제1집(第1輯)이다. 본 책은 총 346쪽으로 구성되어 있다.
1. 머릿말 일러두기 2. 강원도 명주군 학산농요(<악보 1~11>) (1) 배경 (2) 개관 (3) 자진 아라리 1.가창방법 2.노랫말 3.장단 4.선율 (4) 오독떼기 (5) 잡가 (6) 꺾음오독떼기 (7) 사리랑 (8) 싸대 (9) 불임 (10) 타작소리 (11) 고사리 꺾으러 가세 (12) 등짐노래 (13) 영산홍 (14) 요약 3. 경기도 고양군 대화리농요(호미걸이)(<악보 12~22>) (1) 배경 (2) 개관 (3) 긴소리 1.가창방법 2.노랫말 3.장단 4.선율 (4) 사두여 (5) 양산도 (6) 방아타령 (7) 놀노리 (8) 자진방아타령 (9) 상사도야 (10) 자진놀노리 (11) 훨훠리 (12) 몸돌이 (13) 열소리(모심기요) (14) 요약 4. 경남 고성농요(<악보 23~34>) (1) 배경 (2) 개관 (3) 모찔때의 긴등지 1.가창방법 2.노랫말 3.장단 4.선율 (4) 모찔때의 짧은 등지(""조리자"") (5) 모심을 때의 긴등지 (6) 모심을 때의 짧은등지(""더디다"") (7) 해거름등지의 긴등지 (8) 해거름등지의 짧은등지 (9) 도리깨타작 (10) 삼삼기 (11) 상사디여 (12) 방애타령 (13) 치기나칭칭 (14) 물레노래 (15) 베틀노래 (16) 요약 5. 경남 밀양군 산내동요(<악보 35~44>) (1) 배경 (2) 개관 (3) 모노래 1.가창방법 2.노랫말 3.장단 4.선율 (4) 논매기 (5) 칭칭이 (6) 목매노래(나락가는 노래) (7) 작두소리 (8) 보리타작 (9) 풀베기요(혹은 ""산에서 나무하고 내려오며 부르는 노래"") (10) 망깨 (11) 머슴들 놀면서 부르는 노래 (12) 요약 6. 부산시 수영 농청 농요(<악보 45~50>) (1) 배경 (2) 개관 (3) 모찌기 1.가창방법 2.노랫말 3.장단 4.선율 (4) 모심기 (5) 김매기 (6) 풀베는 노래 (7) 가래질 (8) 도리깨타작 (9) 요약 7. 경북 예천군 풍양면 공처농요(<악보 51~57>) (1) 배경 (2) 개관 (3) 모심기요 1.가창방법 2.노랫말 3.장단 4.선율 (4) 진사대 (5) 짜른사대 (6) 어루사대 (7) 햇소리 (8) 걸채소리 (9) 타작소리 (10) 요약 8. 경북 예천군 통명농요(<악보 58~68>) (1) 배경 (2) 개관 (3) 아부레이수나 1.가창방법 2.노랫말 3.장단 4.선율 (4) 도움소 (5) 애벌매기 (6) 상사듸여 (7) 방애소리 (8) 에이용소리 (9) 캥마쿵쿵노세 (10) 봉헤야 (11) 삼삼기 (12) 베틀가 (13) 도해따기 (14) 요약 9. 전남 진도군 의신면 농요(<악보 69~83>) (1) 배경 (2) 개관 (3) 먼데소리(모찌기요) 1.가창방법 2.노랫말 3.장단 4.선율 (4) 상사소리 (5) 절로소리 (6) 잦은 절로소리 (7) 질꼬래기 (8) 보리타작 (9) 길사거리(하중밭 들나들이) (10) 산이요(하중밭 김매기요) (11) 서방님 무그ㅐㄷ(하중밭 김매기요) (12) 난초야 (13) 개골 (14) 도화타령(마당놀이요) (15) 방애홍애 (16) 사랑타령 (17) 요약 10. 전북 옥구농요(<악보 84~89>) (1) 배경 (2) 개관 (3) 만경산타령 1.가창방법 2.노랫말 3.장단 4.선율 (4) 오호타령 (5) 자진산타령 (6) 에이싸오 (7) 위야차소리 (8) 불무노래 (9) 요약 11. 전북 익산군 삼기농요(<악보 90~105>) (1) 배경 (2) 개관 (3) 모심기노래 1.가창방법 2.노랫말 3.장단 4.선율 (4) 긴방아타령 (5) 자진방아타령 (6) 산야(만물산야) (7) 벼베는 산야 (8) 질꼬냉이 (9) 등짐노래 (10) 개상질소리 (11) 방아소리 (12) 산타령 (13) 지게목발노래 (14) 작대기타령 (15) 둥당개타령 (16) 상사소리 (17) 꿩타령 (18) 도이가 (19) 요약 12. 제주도 북제주군 동김녕 농요(<악보 106~111>) (1) 배경 (2) 개관 (3) 밧발리는 소리 1.가창방법 2.노랫말 3.장단 4.선율 (4) 검질매는 소리 (5) 촐비는노래 (6) 타작소리 (7) 맷돌노래 (8) 방아소리 (9) 요약 13. 제주도 남제주군 표선면 성읍농요(<악보 112~119>) (1) 배경 (2) 개관 (3) 밧발리는 소리 1.가창방법 2.노랫말 3.장단 4.선율 (4) 홍애기 (5) 아웨기 (6) 마당질소리 (7) 맷돌노래 (8) 연자매노래 (9) 남방아소리 (10) 요약 14. 충북 중원군 마제농요(<악보 120~130>) (1) 배경 (2) 개관 (3) 절우자(모찌기요) 1.가창방법 2.노랫말 3.장단 4.선율 (4) 아라성 (5) 긴방아(논매기요) (6) 중거리방아 (7) 자진방아 (8) 어화굼실 대허리야 (9) 진방아(여성노작요) (10) 중거리방아ㆍ자진방아(여성노작요) (11) 갈 뜯는 노래 (12) 말 박는 노래 (13) 요약 15. 황해도 봉산군농요(<악보 131~135>) (1) 배경 (2) 개관 (3) 종자심기 (4) 섬마타령 (5) 산염불 (6) 용정타령 (7) 방호타령(타작요) (8) 요약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