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수집아카이브 |
---|---|
자료명(이명칭) | 한국의 농요(韓國의 農謠) 제4집 : 삼척ㆍ화성ㆍ의령ㆍ경산ㆍ곡성ㆍ고창ㆍ공주ㆍ청원군ㆍ함경남도 및 추자도 편(부록악보-傳來民謠) 도서 |
자료명(한문) | 韓國 農謠 4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김영운으로부터 기증받은 한국의 농요(韓國의 農謠) 제4집이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901227 |
생산자(처) | 이소라 |
생산지역 | 국내 > 서울특별시 > 마포구 |
생산지역 상세 | 아현동 627의 5 |
언어 | 한국어 |
형태분류 | 수집아카이브 > 문서류 > 단행본 > 음악교과서 |
검색어 | 한국의 농요(韓國의 農謠) 제4집 , 한국의 농요(韓國의 農謠) 제4집 : 삼척ㆍ화성ㆍ의령ㆍ경산ㆍ곡성ㆍ고창ㆍ공주ㆍ청원군ㆍ함경남도 및 추자도 편(부록악보-傳來民謠) 도서 , 韓國 農謠 4 |
자료설명 | 본 자료는 김영운으로부터 기증받은 1990년 12월 27일 이소라가 발간한 한국의 농요 제4집(第4輯)이다. 본 책은 총 824쪽으로 구성되어 있다.
1. 강원도 삼척군 농요(<악보 967~987>,<보례 1~4>) (1) 배경 (2) 개관 (3) 소모는 소리 (4) 미나리 (5) 미나리와 어산영, 이른바 산유화가의 비교 (6) 논매는 소리-영감아 (7) 밭매는 소리 (8) 길쌈노래, 나물캐는 노래 (9) 큰 고정목 끌어내는 소리 (10) 산판소리 (11) 목도소리 (12) 아라리 (13) 게줄다리기, 기타 (14) 요약 2. 경기도 화성군ㆍ오산시 농요(<악보 1013~1086>,<보례 1~4>) (1) 배경 (2) 개관 (3) 모심는 소리 A. 열소리 B. 여기도 하나 형 C. 나열형 (4) 논매는 소리 개관 (5) 두울레소리 (6) 문셍이 (7) 긴방아 (8) 중거리방아 (9) 에렐렐 상사디야 (10) 몬돌소리 (11) 얼카덩어리 류 (12) 곤장네 (13) 대허리 류 (14) 방게소리 (15) 방아타령계통 (16) 지경다지는 소리 등 (17) 디딜방아 찧는 소리 (18) 요약 3. 경남 의령군 농요(<악보 1123~1184>,<보례 1~5>) (1) 배경 (2) 개관 (3) 모노래 (4) 궁굴레 (5) 논매는 소리. 사사 (6) 칭칭이 (7) 밭매는 노래 (8) 삼삼는 노래 (9) 물레노래 및 베틀노래 (10) 도리깨 타작 소리 (11) 나무꾼 소리 (12) 줄메는 소리 (13) 망깨소리 (14) 가래질 소리. 기타 (15) 요약 4. 경북, 경산군 농요(<악보 1212~1262>,<보례 1~5>) (1) 배경 (2) 개관 (3) 모찌는 소리 (4) 모심는 소리 1.가창방법 2.노랫말 3.장단 4.선율 (5) 전례 (6) 옹헤야 호헤야 (7) 옹헤야 (8) 얼룰룰상사디야 (9) 칭칭이 A. 장원질소리 B. 줄메고나가는 소리 (10) 도리깨질 소리 A. 옹헤야 류 B. 옹헤야 호헤야 휴 (11) 삼삼는 노래 등 (12) 나무꾼 소리(어산영) (13) 망깨노래 (14) 파래질 소리 (15) 요약 5.전남 곡성군 농요(<악보 1284~1315>,<보례 1~7>) (1) 배경 (2) 개관 (3) 모심는 소리 (4) 술렁소리 ""네헤로-고나"" (5) 설음소리 (6) 방게소리 류 A. 느린 방게 B. 중방게 류 C. 잦은 방게 (7) 사호소리 (8) 개골상사 (9) 배꽃타령 (10) 무후렴 오동추, 기타 (11) 위여소리 (12) 씨고씨고야 (13) 산아지곡, 기타 (14) 장원질 소리 (15) 밭매는 소리 및 길쌈노래 (16) 터다지는 소리, 기타 (17) 요약 6. 전북 고창군 농요(<악보 1333~1405>,<보례 1~21>) (1) 배경 (2) 개관 (3) 모심는 소리 (4) 이른바 산유화 15장 (5) 사호소리 (6) 호헤로 호무질 (7) 뒤여소리 류 (8) 우룰룰룰 (9) 얼싸절싸 (10) 얼싸절싸 헹게로다 (11) 아라시고나 류 (12) 방게소리 (13) 잦은 방게소리 (14) 뚜룸마 (15) <악보 1353>, 기타 A. 아롱자롱 B. 종헤소리 (17) 나락등짐소리 (18) 콩밭매는 노래 (19) 물ㄹ노래와 베틀노래 (20) 줄메고 나가는 소리, 기타 A. 줄메고 나가는 소리 B. 물품는 소리 C. 나무꾼소리 D. 터다지는 소리 E. 흙가래질 소리, 기타 (21) 요약 7. 북제주군 추자도 농요(<악보 1459~1467>,<보례 1~3>) (1) 배경 (2) 개관 (3) 밭매는 소리 (4) 도리깨 타작소리 (5) 흙집 짓는 소리 (6) 지경닺이(달구) (7) 줄메고 나가는 소리 (8) 기타 (9) 요약 8. 충남 공주군 농요(<악보 1498~1532>,<보례 1~11>) (1) 배경 (2) 개관 (3) 모심는 소리 A. 부여형 상사 B. 잦은 상사 (4) 어하 얼러를 가세 (5) 긴 아하 에헤소리 (6) 얼카덩거리 계통 A. 얼카덩어리+넘어를 간다 형 B. 얼카덩어리+대허리 형 (7) 기타의 논매는 소리들 A. 위야차 B. 교창 형 C. 잦은 상사 형 D. 산아지 곡 (8) 장원질 소리 (9) 벼바숨 소리 (10) 도리깨질 소리 (11) 두레질 소리 (12) 나무꾼 소리 (13) 터다지는 소리 (14) 베틀노래, 기타 (15) 요약 9. 충북 청원군 농요(<악보 1563~1635>,<보례 1~11>) (1) 배경 (2) 개관 (3) 모찌는 소리(뭉치세 류) (4) 모심는 소리 A. 청원형 모심는 상사 B. 교창식 모노래 (5) 행상류 논매는 소리 (6) 짜른 어허이야 (7) 잘하네 류 (8) 이른바 안팡게 (9) 긴방아 류 (10) 잦은 방아소리 (11) 오하 널널 상사디야, 기타 (12) 물품는 소리 (13) 도리깨질 소리 (14) 베틀노래, 디딜방아찧는 소리, 기타 (15) 나무꾼 소리, 산판소리 등 (16) 지점소리 (17) 요약 10. 함경남도 농요 Ⅰ(<악보 1667~1678>,<보례 1, 2>) (1) 배경 (2) 개관 (3) 모심는 소리 (4) 논매는 소리(어울레) (5) 밭매는 소리 (6) 삼삼이 (7) 어랑타령 (8) 풍구소리 (9) 집터다지는 소리 (10) 미나리 노래, 기타 (11) 요약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