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수집아카이브 |
---|---|
자료명(이명칭) | 파주민요론(坡州民謠論) 도서 |
자료명(영문) | Ethnic Folksongs of Paju City |
자료명(한문) | 坡州民謠論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199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김영운으로부터 기증받은 파주민요론(坡州民謠論) Ethnic Folksongs of Paju City이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970227 |
생산자(처) | 파주시문화원 |
언어 | 한국어 |
형태분류 | 수집아카이브 > 문서류 > 단행본 > 음악교과서 |
검색어 | 파주민요론(坡州民謠論) Ethnic Folksongs of Paju City , 파주민요론(坡州民謠論) 도서Ethnic Folksongs of Paju City , 坡州民謠論 |
자료설명 | 본 자료는 김영운으로부터 기증받은 1997년 2월 27일 파주시문화원에서 발행한 파주민요논(저자: 이소라)이다. 본 책은 총 459쪽으로 노래에대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1장. 내 고장의 노래 <파주 1~3> 2장. 개관-배경, 녹음, 조사지역, 농사 일정, 민요의 개념, 민요의 분류 3장. 파주민요의 특색 4장. 파주 금산리 농요 5장. 모찌는 소리와 파주-모찌는소리 출현시기의 상한선, 모찌는 소리의 종류, 파주의 모찌는 소리 6장. 모심는 소리와 파주-벼농사의 기원, 모심는 소리의 종류, 파주의 모심는 소리 7장. 경기도의 논맴소리와 파주 8장. 논김 양산도와 논맴 양산도 9장. 논김 방아타령 방아타령 방아소리 10장. 헤이리 로 11장. 오돌독과 오돌또기 및 오독떼기 12장. 우야소리 로 13장. 용두레지소리, 풀나무깍는 소리, 소부림말 등 14장. 지경소리 15장. 동요 16장. 흥민요 17장. 의식요-비손, 고사반 축, 널 액막음 소리, 행상소리, 회방아소리, 용미리 상부소리 악보<파주 4~223>, 악보<예 1~4>, <표 14, 15>, <도><표> 색인, 사진 색인, 악보 새익인, CD 악보 색인 Summary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