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200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93년 12월 14일 충북 괴산에서 기록한 모심는소리-어리랑이다. 한국민요대전: 우리의 소리를 찾아서(CD 12장, 235곡) 는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에서 일부 악곡을 선정하여 2000년 9월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광영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메기는소리/이광영 |
해설 | 모를 심으면서 하는 소리. 우리 민요의 대표격으로 알려진 ‘아리랑’이 농요로도 쓰였다는 것을 알 수 있는 곡. 뒷소리 하는 사람들을 ‘애기패’라고 했는데, 이들은 뒷소리를 할 때는 일어나서 허리를 펴고 소리만 하고 앞소리꾼이 메길 때 모를 심었다. |
가사 | (후렴) 이야 이야 어러리요 어리랑 에헬싸 에헤리송아
이야 이야 어러리여 어리랑 에헬싸 에헤리송아 여기 꼽구 저기나 꽂어 삼배출 자리로만 꽂어 주게 이 논자리에다 모를 심어 장잎이1) 훨훨에 영화로구나 일락에 서산에 해 떨어지고 우리야 일거리는 태산두같애 오늘 해두 다 저물었는데 골골마두 연기가 나네 오늘 해는 여기서 놀구 내일 해 또 다시 어디서 보나 1) 장잎: 벼이삭이 패기 직전에 나오는 긴 잎. 벼가 다 자랐다는 것을 말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