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200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93년 10월 06일 경북 예천에서 기록한 모심는소리-아부레이수나,돔소이다. 한국민요대전: 우리의 소리를 찾아서(CD 12장, 235곡) 는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에서 일부 악곡을 선정하여 2000년 9월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이상휴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메기는소리/이상휴 |
해설 | 1985년에 국가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예천 통명농요’ 가운데 모심는소리 부분. 이 마을에서만 부르는 독특한 모심는소리다. ‘아부레이수나’는 이 지역에서 단오날 여자들이 그네를 뛸 때 하는 소리이기도 한데, 그네가 앞뒤로 왔다 갔다 하는 모양을 나타낸다. 여기서는 모심는 일꾼들이 좌우로 왔다 갔다 하면서 모를 심는 모습을 나타낸다. 모심기를 마무리할 무렵에 ‘돔소’소리로 넘어간다. |
가사 | (후렴) 아부레이수나 이요
아부레이수나1) 에에 오늘날 이 논빼미에 누구 누구 모여싰는고 일등 농군님이 다 모였싰네 이에 아부레이수나 에에 한 톨 종자 싹이 나서 만곱쟁이 열매맺는 신기로운 이 농사는 하늘 땅에 조화로네 아부레이수나 에에 모야 모야 노랑모야2) 니 언지 커서 열매가 맺힐래 이 달 크고 새 달 커서 칠팔월에 열매나 맺지 아부레이수나 (후렴) 돔소 돔소 에헤루화 돔소 돔소3) 돔소 헤헤루화 돔소이 돔소 소리가 나거들랑 헤헤루화 돔소이 먼 데 사람 듣기 좋게 헤헤루화 돔소이 젙에 사람 보기 좋게 헤헤루화 돔소이 돔소 소리도 고만하세 헤헤루화 돔소이 1) 아부레이수나: ‘아부레이’와 ‘수나이’가 합쳐진 말. ‘아부레이’는 ‘합친다’,‘모인다’,‘만난다’는 뜻을 가진 말. 여럿이 한줄로 늘어서서 모를 심을 때 각기 좌우로 움직이게 되는데, 그러다 보면 둘씩 만났다가 다시 갈라져 다른 쪽 사람과 만나곤 하는 것을 말한다. 2) 노랑모: 갓 심어놓은 모가 뿌리를 내리기 전에 잠시 시들어 잎이 노랗게 보이는 것을 말함. 3) 돔소: 모를 거의 다 심었을 때 일을 마무리로 부르는 소리. ‘돔소’의 뜻은 확실치 않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