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200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92년 12월 28일 충남 홍성에서 기록한 논매는소리-얼카덩어리이다. 한국민요대전: 우리의 소리를 찾아서(CD 12장, 235곡) 는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에서 일부 악곡을 선정하여 2000년 9월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최광순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메기는소리/최광순 |
해설 | 호미로 논을 맬 때 부르는 충남 서북부의 전형적인 논매는소리. 호미로 잡초가 돋아난 논을 파엎어 흙덩이가 넘어가는 모습이 노래 가사나 후렴에 나타나 있다. |
가사 | (후렴) 얼카 덩어리
얼카 덩어리 넘어가는게 덩어리라 무정 세월아 가지 말어라 아까운 농군들 다 늙어 가노라 우수 경첩에 대동강 풀리고 정든 님 말씀에 요 내 속 풀린다 무정 기차는 날 실어다 놓구요 환고향1) 시킬 줄 왜 몰러 주느냐 (후렴) 얼카 뎅이 얼카 뎅이 넘어 가는 게 / 덩어릴세 양베리는2) / 빨리 가고 가운데는 / 천천히 맵시다 앞을 보고 / 옆을 보며 정심 딜여서 / 잘 좀 매세 저쪽이 피포기3) / 이쪽이 올망대4) 하나도 빼놓지 말고 / 잘 좀 뽑세 잘두 맨다 / 우리 농군들 / 잘두 매요 정심 딜여서 / 매여보세 “다 맸네” 1) 환고향(還故鄕) : 고향에 돌아가다. 2) 양베리: 양쪽 벼리(綱) . 흔히 벼루 또는 베루라고 한다. 벼리는 원래 그물 가장자리의 줄기가 되는 부분을 말하나 여기서는 논 가장자리에서 익숙한 솜씨로 논매기를 주도하는 사람을 말함. 3) 피포기: 잡초인 피가 포기진 것. 4) 올망대: 잡초의 이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