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논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200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충남 홍성에서 기록한 논둑가래질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 우리의 소리를 찾아서(CD 12장, 235곡) 는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에서 일부 악곡을 선정하여 2000년 9월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최광순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메기는소리/최광순 |
해설 | 물이 불어 논둑이 터졌을 때 가래질로 논둑을 막으며 하는 소리. |
가사 | (후렴) 어낭천 가래호
어낭천 가래 천지 조화로 무너진 뚝을 몸부름친다고 소용 있나 한탄을 마소 긴심을1) 마소 오늘 해전에 완공을 할거니 어서 빨리 술 가져오시오 술동이 위에다 전자리포2) 덮었네 이 뚝도 막고 저 뚝도 막세 말 잘하는 소진장이5) 육국6) 천하를 달랬건만 소내기 구름을 왜 못 달랬나 여보소 농군들 근력을 딜여서 웬수같은 소낙빌세 잘도 헌다 잘도 허여 우리 농군들 잘도 헌다 어서 막고 집이 가세 (후렴) 영차 엉차 / 엉차 걸려 / 밀어서 / 빨리 / 막세 이쪽 / 저쪽 / 걸려 / 매여 / 빨리 / 막세 잘도 / 헌다 / 잘도 / 허여 “다 막었네!” 1) 긴심: 근심. 2) 전자리포: 바닷고기인 전자리로 만든 포. 술 안주. 3) 소진장이: 소진(蘇秦) 과 장의(張儀) . 중국 전국시대의 책사로 말 잘하는 사람으로 꼽힘. 4) 육국(六國) : 중국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 의 齊,楚,燕,韓,魏,趙의 여섯나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