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밭농사 > 밭매는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200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 12월 28일 전남 함평에서 기록한 밭매는소리-사래길고장찬밭에이다. 한국민요대전: 우리의 소리를 찾아서(CD 12장, 235곡) 는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에서 일부 악곡을 선정하여 2000년 9월에 발매되었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891228 |
생산자(처) | 문화방송(MBC) |
생산지역 | 전라남도 > 함평군 |
언어 | 한국어 |
공공누리 |
미해당
|
검색어 | 문화방송(MBC) , 한국민요대전 , 우리의 소리를 찾아서 , CD 04 , 밭매는소리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밭농사 , 농요 , 밭매는소리전라남도 , 전남 , 함평군 , 1989 , 2000 , 윤수복 , 독창 |
실연자 | 윤수복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윤수복 |
해설 | 전남지역의 밭매는소리는 신안, 진도지방의 잡가류를 제외하고는 이렇게 혼자 흥얼거리는 노래가 대부분이다. 밭매는 상황에 어울리는 노랫말로 되어 있다. 전남지방에 흔한 '둥당애타령' 곡조로 되어 있다. |
가사 | 사래 길고 장찬1) 밭에
멧골같이2) 지신3) 골을 요내 골도 못 매는디 벗에 골만 맞으라네 이 골 매고 저 골 매고 삼세 골을 매고 보니 넘어가네 넘어가네 일락서산에 넘어가네 친구 친구 어서 오소 이 골 저 골 다 매는데 외골 잡고 뭣 허는가 1) 장찬(長-) : 곧고도 긴. 2) 멧골: 산골. 3) 지신: 우거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