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검질매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밭농사 > 밭매는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200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 03월 17일 제주 남제주에서 기록한 밭매는소리-홍애기이다. 한국민요대전: 우리의 소리를 찾아서(CD 12장, 235곡) 는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에서 일부 악곡을 선정하여 2000년 9월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홍복순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메기는소리/홍복순 |
해설 | 제주지역의 밭매는소리 가운데 가장 느린 편에 속하는 곡. 후렴을 ‘어기야 홍–’하고 외친다고 하여 ‘홍애기’라 한다. 밭매는소리를 현지에서는 ‘검질매는소리‘라 한다. |
가사 | (후렴) 음 야어 어허기야 홍
이야디야 엉 허으어 어허어 산이로구낭 산천초목 엉 허으어 어허어 젊어나 간다 인간 인셍 엉 허으어 어허어 다 늙어가네 앞멍에야1) 엉 허으어 어허어 들어나 오라 뒷멍에랑 엉 허으어 어허어 나고나 가소 검질 짓고2) 엉 허으어 어허어 골 너른 밧디3) 고븐쉐4) 로 엉 허으어 어허어 여이어 가자5) 이팔청춘 엉 허으어 어허어 소년놈들아 벡발 보고 엉 허으어 어허어 희롱을 마소 1) 앞멍에: 앞쪽에 있는 밭머리. 2) 검질 짓고: 김이 무성하고 3) 골 너른 밧디: 이랑이 넓은 밭에 4) 고븐쉐: 호미. 5) 여의어 가자: 매어 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