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아웨기, 검질매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밭농사 > 밭매는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200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 03월 19일 제주 남제주에서 기록한 밭매는소리-아웨기이다. 한국민요대전: 우리의 소리를 찾아서(CD 12장, 235곡) 는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에서 일부 악곡을 선정하여 2000년 9월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오생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메기는소리/김오생 |
해설 | 제주도 밭매는소리의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종류의 악곡. 후렴이 ‘아아양…’으로 시작된다고 하여 ‘아웨기’라 한다. 제주도 굿에 나오는 서우젯소리와 같은 곡이다. 밭매는소리를 현지에서는 ‘검질매는소리‘라 한다. ’검질‘은 ’김‘, 곧 잡초를 말한다. |
가사 | (후렴) 아아양 아헤헤양 어허요
어야디야 방애로구나 검질 짓고 골 너른 밧디 소리로나 매여나 보자 앞멍에야 들어나 오라 뒷멍애야 나고나 가라 검질 짓고 골 너른 밧디 검질 줌1) 이랑 조직조직2) 날도 더웁고 더운 날에 소리로나 매여나 보자 허기야뒤야 방아로구나 1) 검질 줌: 김매는 손길. 2) 조직조직: 빠르게 움직이는 모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