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사데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밭농사 > 밭매는소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200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 02월 16일 제주 북제주에서 기록한 밭매는소리-진사데이다. 한국민요대전: 우리의 소리를 찾아서(CD 12장, 235곡) 는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에서 일부 악곡을 선정하여 2000년 9월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강옥심, 변문숙 |
---|---|
실연자 역할 | 가창/강옥심, 변문숙 |
해설 | 제주도의 밭매는소리의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사데소리’ 계통의 밭매는소리. 사데소리는 마디의 길고 짧음에 따라 진(긴) 사데, 중간사데, 짜른(짧은) 사데 등으로 구별되는데, 이 곡은 숨을 크게 네 번 내쉴 동안 한 절이 끝난다고 해서 ‘진사데‘중에서도 ‘네굽이사데’라고 일컫는 특이한 곡이다. 애월지방은 일찌기 유교(儒敎) 문화가 정착되어 여인들이 노래를 하되 노랫말 없이 입소리로만 소리를 하는 방식이 발달한 것으로 해석된다. 두 사람이 엮어내는 이중창이 절묘하다. |
가사 | 바람은 간들간들 어허엉 어허엉어허 어어허 허어
어야어으어 어으엉 얼두리야 사데로구나 어허야 어허엉 어허으어허허 어허으어허으허 허어 어야어으어 어으엉 얼두리야 사데로구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