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마당질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밭농사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200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 03월 17일 제주 남제주에서 기록한 보리타작소리-어야홍이다. 한국민요대전: 우리의 소리를 찾아서(CD 12장, 235곡) 는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에서 일부 악곡을 선정하여 2000년 9월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홍복순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메기는소리/홍복순 |
해설 | 현지에서는 보리타작소리를 '마당질소리'라 한다. 성읍2리의 마당질소리는 실제로 마당에서 짚더미를 작대기로 치면서 녹음한 덕분에 사설이나 가락에 현장성이 나타나있다. 메기는 사람이 소리로 일의 강약을 조절하는 것을 알 수 있다. |
가사 | (후렴) 어야홍
어야도 홍아 / 어야도 홍 어여 홍 / 어야 홍 하영 먹젠1) / 산전에 올라2) 머룻줄에 / 발 걸련 / 유울엄서라3) 어야도하야 / 어야도하야 한 마룰랑4) / 놀고 가자 한 마룰랑 / 쉬고 가자 욜로 요레5) / 셍곡동산6) 따릴 놈 낫네7) / 부술 놈 낫네 어야도하야 / 요거여 저거여 어야홍 / 어야홍 / 에야도 홍 쉬고 가자 / 놀고 가자 에야도하야 / 어야하야 한 물어 보자 / 어야하야 죽을 힘을 / 다 내고 보자 요것도 셍곡 / 저것도 셍곡 셍곡동산 / 어서나 가라 허야도하야 / 허야하야 구둠나게8) / 복삭복삭 어야하야 / 어야 홍 / 어야 홍 실장군덜이9) / 요 마당질 / 버칠소냐10) 모다들멍11) / 우리 접군 / 일심동력 어야도하야 / 요거여 저거여 / 어야하야 요 몬지락12) / 뒷칩의 가라13) / 어야도 홍 청청하늘 / 잔벨도 많고 요 마당질 / 벨이 송송 어양하야 / 어야하야 어야 홍 / 어여 홍 1) 하영 먹젠: 많이 먹자고. 2) 산전(山田) 에 올라. 3) 머룻줄에~유울엄서라: 머루덩굴에 발이 걸려 넘어져 울고 있더라. 4) 한 마룰랑: 한 마루는. 5) 욜로 요레: 요리로 요리. 6) 셍곡동산→생곡(生穀) 동산. 타작이 덜된 이삭더미. 7) 따릴놈 낫네: 때릴 놈 나왔네. ‘놈’은 보리이삭. 8) 구둠나게: 먼지나게. 9) 실장군덜이: 실한 장군들이 10) 버칠소냐: 부칠소냐. 11) 모다들멍: 모여들면서. 12) 요몬지락: 요 가시랭이. 13) 뒷칩의 가라: 뒷집으로 가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