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촐비는소리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농업노동요 > 기타농업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200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 03월 20일 제주 남제주에서 기록한 꼴베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 우리의 소리를 찾아서(CD 12장, 235곡) 는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에서 일부 악곡을 선정하여 2000년 9월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강재흡, 강재훈, 강성태 |
---|---|
실연방법 | 교환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강재흡, 강재훈, 강성태 |
해설 | 늦여름에 소먹이풀(꼴) 을 베어내면서 하는 소리. 현지에서는 '촐비는소리'라 한다. 서너 명이 긴 낫을 들고 서서 풀을 베어나간다. 풀은 주로 자굴, 진왕 등 소가 잘 먹는 풀이며, 베어낸 풀은 겨우내 소먹이로 쓴다. 풀이 잘 자라게 하기 위해 비료를 뿌리는 수도 있었다. 때로는 부녀자들이 짧은 낫으로 풀을 베면서도 소리를 한다. |
가사 | 다: 허허엉 허으어기야 웬낫 나단낫1) 으로 어으어허에 저 머리를 쫓아가자
가: 겁하늬가2) 허이에 고동하늬3) 로 불어 노난 허이에헤헤 촐도 잘 말라가는고나 나: 스르릉 스르릉 으응 낫도 잘도 들어가는구나 다: 팔월 중에 넘어신고라4) 자굴5) 튀는 소리가 와닥딱 와닥딱 나는구나 가: 비료를 번 해엿더니 낫도 잘 드는구나 헤이에 갓개6) 에 맞추완 르릉 르릉 는구나 나: 하이구 날도 더워지고 이 졸졸이 리는구낭야 다: 허어허으어허헛 이근녁7) 이 비여가는 대로 따라 가자 1) 웬낫 나단낫: 왼손에 잡은 낫과 오른손에 잡은 낫. 2) 겁하늬: 거센 하늬바람, 곧 북서풍 또는 서풍. 3) 고동하늬로: 쉬지않고 부는 하늬바람? 4) 넘어신고라: 넘었는지. 5) 자굴: 자귀풀. 여기서는 자귀풀씨. 6) 갓개: 어깨장단. 7) 이근녁: 김을 매거나 풀을 벨 때 가장자리에서 선도하는 사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