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어업노동요 > 어로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200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90년 03월 06일 전남 여천에서 기록한 [멸치잡이] 거문도뱃노래이다. 한국민요대전: 우리의 소리를 찾아서(CD 12장, 235곡) 는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에서 일부 악곡을 선정하여 2000년 9월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정경용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메기는소리/정경용 |
해설 | 거문도 일대에서 전해오는 어로요들을 모아 1976년 ‘남도문화제’에 참가하면서 <거문도뱃노래>라는 이름을 붙였다. 1972년 전라남도 무형문화재 1호로 지정되었다. <거문도뱃노래>에는 위에 수록된 곡들 외에 줄을 꼬면서 부르는 ‘술비소리’가 포함된다. 주로 멸치잡이를 하면서 부르던 곡들이다. <올래소리>는 그물을 당겨 올리면서 하는 소리이고, <가래소리>는 그물에 잡힌 고기를 배로 퍼 실을 때 하는 소리, <썰소리>는 멸치를 잡아 마을로 돌아오면서 하는 소리, <어영차소리>는 만선이 되었을 때 마을 가까이에서 흥겹게 하는 소리다. |
가사 | <노젓는소리-놋소리>
(후렴) 어야 뒤야 (후렴2) 어기여 디여 어야 뒤야 어기여차 디여로세 가자 가자 어서 가세 어장터로 어서 가세 어기여라 디여라 앞산은 점점 가까와지고 뒷산은 점점 멀어만 가네 여보소 어간노1) 힘차게 젓소 어기여라 디여라 (후렴 2) 어기여차차 디여로세 배추밭2) 끝에가 꿀이 실 터이니3) 무진개4) 끝은 언제나 갈거나 우리 노꾼들 힘차게 젓소 어기여라 디여라 (후렴 2) 썰물때도 다 되어가네 어서 한 바디5) 떠 보세 어기여차차 디여로세 어야디야 <그물당기는소리-올래소리> (후렴) 올래 보자 올래 보자6) 이 그물 안 헝크러지게 어서 당그소 헝크러지면 어장을 못하네 뒤에 사람은 그물을 챙기고 이물 사람은 천천히 당그소 대를 뻗쳐서 힘차게 당그소 동에는 청제요왕신7) 남에는 적제요왕신 서에는 백제요왕신 북에는 흑제요왕신 중앙에는 황제요왕신 화이동심을8) 허옵시면 우리 배가 만선만 되면은 돛대 위에다 봉기를9) 꼽고 봉기 우에다 연화를10) 받어 부모처자식 공양을 하세 가자 가자 어서 가세 우리 고장을 어서 가세 부모처자식 기다린다네 버끔이11) 뿌걱뿌걱 난 것을 보니 우리배 만선은 되겄구나 힘차게 어서들 당거를 주소 올레보자 <고기푸는소리-가래소리> (후렴) 어랑성 가래야 어랑성 가래야 이 가래가 뉘 가랜가 이 가래는 우리 가래로세 우리 뱃사람덜 잘도나 하네 쪽바두질도12) 잘도 허고 딱가래질도13) 잘도 한구나 이물에다가 못 실으면 이 칸 저 칸이 모두 차거든 그물을 옆으로 차고 건너가세 저 산에 저 별을 바라보니 조깐 있으먼 동이 트겄네 퍼 실어보세 퍼 실어보세 날 새기 전에 퍼 실어보세 어기영차 가래로세 어기영차 가래로다 어랑성 가래야 <노젓는소리-썰소리> (후렴) 에에 어기여 에헤 어기여 우리 쥔네 마누라가 궁둥이질 친다 에헤 어기여 멸치 잡어 보리 폴고14) 쌀을 폴아 자식들 묵고 우리 집에 웃음꽃 피네 에헤 어기여 돌아온다 봉기 시라15) 궁창 맞어16) 소리 맞어 에헤 어기여 <만선풍장소리-어영차소리> (후렴) 어영차 어영차 / 에야디야차 만선이다 만선이다 / 만선이 됐으니 이웃집 마누라 / 궁둥이 추며 쥔네 마누라 / 궁둥이 춤춘다 / 어영차 쥔네 마누라 / 열두폭치마 주섬 주섬 / 줏어 안고 복전17) 달고 / 마중 나온다 / 어영차 아웃집 마누라 / 주섬 주섬 / 줏어 안고 복전 달고 / 마중 나온다 / 어영차 갓만 닿으면18) / 술도 묵고 노래도 부르고 / 춤도 춰보세 어영차 / 어영차 (풍물) 1) 어간노: 가장 큰 노. 2) 배추밭끝: 지명. 3) 꿀이 실 터이니: 물이 셀 터이니. 4) 무진개끝: 지명. 5) 바디: 그물에 잡힌 고기를 배에 퍼담는 도구. 6) 오올래 보자: 올려 보자. 7) 청제요왕신→청제용왕신(靑帝龍王神) : 민속에서 동쪽을 맡아 본다고 하는 바다의 신. 8) 화이동심(和而同心) : 서로 화합하여 마음을 모음. 9) 봉기(奉旗) : 이물에 실은 고기의 양을 재는 막대인 봉죽에 다는 깃발. 만선일 때 단다. 10) 연화: 봉죽에 다는 종이꽃. 11) 버끔: 거품. 12) 쪽바두: 고기를 퍼담는 도구. 자루 끝에 그물망이 달렸다. 13) 딱가래: 고기를 퍼담는 도구. 자루가 없다. 14) 보리 폴고: 보리쌀을 사고. 곡식을 살 때는 ‘판다’고 한다. 15) 봉기 시라: 봉기(奉旗) 를 세우라. 16) 궁창 맞어: ‘장단 맞춰’의 뜻인 듯. 17) 복전: 복이 들어오라고 내놓는 돈? 18) 갓: 바닷가에만 닿으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