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 |
주제분류 | 민요 > 노동요 > 가사노동요 > 도정/제분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200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93년 09월 14일 경북 금릉에서 기록한 디딜방아찧는소리이다. 한국민요대전: 우리의 소리를 찾아서(CD 12장, 235곡) 는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에서 일부 악곡을 선정하여 2000년 9월에 발매되었다. |
입수유형 | 기증 |
---|---|
생산일자 | 19930914 |
생산자(처) | 문화방송(MBC) |
생산지역 | 국내 > 경상북도 > 김천시 |
언어 | 한국어 |
공공누리 |
미해당
|
검색어 | 문화방송(MBC) , 한국민요대전 , 우리의 소리를 찾아서 , CD 07 , 디딜방아찧는소리 , 민요 , 노동요 , 가사노동요 , 도정/제분 , 경상북도 , 경북 , 김천시 , 1993 , 2000 , 이분님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 이분님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메기는소리/이분님 |
해설 | 디딜방아를 찧으며 하는 소리. 가창자들은 15세 무렵부터 보리방아를 찧으면서 이런 노래를 불렀다고 한다. 앞소리는 강원도, 충청도, 경북 일부 지역에 분포하는 '자진아라리'다. |
가사 | (후렴) 오호호 호야사이 잘 한다
디디게 디디게 못가래서1) 디디게 / 못가래서 디디면 상가래서2) 심을 쓰네 콩다콩 콩다콩 찧는 방애 / 언지나 다 찧고 적마실3) 가꼬 시아바이 잡놈아 적상4) 받아라 / 얼른 뚝딱 설겆이고 적마실 간다 콩다콩 콩다콩 찧는 방애 / 언지나 다 찧고 적마실 가꼬 우리야 삼동시5) 찧는 방애 / 가운데 동시가 젤 잘 찧네 디디게 디디게 못가래서 디디게 / 못가래서 디디야 상가래서 심을 쓰네 1)못가래: 디딜방아의 곁에서 디디는 쪽. 2)상가래: 디딜방아 두 가닥의 본디 쪽. 3)적마실: 저녁 마실. 4)적상: 저녁상. 5)삼동시: 세 동서(同壻).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