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가창유희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200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 09월 26일 전남 진도에서 기록한 아리랑타령이다. 한국민요대전: 우리의 소리를 찾아서(CD 12장, 235곡) 는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에서 일부 악곡을 선정하여 2000년 9월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조공례 |
---|---|
실연방법 | 메기고 받는 소리 |
실연자 역할 | 메기는소리/조공례 |
해설 | 전라남도 지역의 대표적인 유흥요. 진도 출신의 대금 명인인 박종기가 후렴을 만들었다는 설이 있다. 메기는 소리는 전남지역에 널리 전승돼 온 '산아지타령'과 같다. |
가사 | (후렵) 아리아리랑 스리스리랑 아라리가 났네 아리랑 응응응 아라리가 났네
아리아리랑 스리스리랑 아라리가 났네 아리랑 응응응 아라리가 났네 오다가 가다가 만나는 님은 폴목이1) 끊어져도 나는 못 놓겄네 울 너메 총각은 절대야 소리 물질는 큰애기가 한숨이로고나 십오야 밝은 달 구름 속에서 놀고 이십 안짝 새 큰애기 내 품속에서 논다 저 건네 저 가시나 엎우러져라 일세나 주는 떼끼2) 보듬어나 보자 춥냐 더웁냐 내 품안으로 들어라 비개가 높고 야차면3) 이내 팔을 비고 허리똥4) 늘어지고 가느쪽쪽한 큰액아 앞동산 좁은 질로 날만 찾아 오너라 치매끈 잘라매고 논 샀더니 물 좋고 밭 좋은 데로 신작로가 난다 신작로 난 일도 내 원통한데 지도비 무라는5) 고지서가 나왔네 저 건네 저 가시나 앞가심 보아라 연출없는6) 호박이 두 통이나 열었네 만주야 봉천은 얼마나 좋아 꽃과 같은 날 버리고 만주 봉천을 가는가 일본아 대판아 다 무너져라 육로로 걸어서 임 찾아 가자 신작로 복판 안에 솥 때는 저 사람 임의 정 떨어진 데는 못 때워주요 육칠월 장마에 삼천게7) 뜨고 이내야 수단에는 큰애기 몸이 동당 떴네 십오야 밝은달 흔8) 양산 받고 아장아장 걸는 것이 갈보로구나 울타리 밑에서 깔 비는9) 총각 눈치만 채고서 떡 받어 먹게 떡은 받어서 망태에 담고 눈치만 채고서 날 따라오게 1)폴목이: 팔목이. 2)일세나 주는 데끼: 일으켜 주는 듯이. 3)야차면: 얕으면. 4)허리똥: 허리통. 5)무라는→물라는. 6)연출: 넝쿨. 7)삼천게: 게의 일종. 8)흔→흰. 9)깔 비는→꼴 베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