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가창유희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200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 01월 30일 제주 북제주에서 기록한 오돌또기이다. 한국민요대전: 우리의 소리를 찾아서(CD 12장, 235곡) 는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에서 일부 악곡을 선정하여 2000년 9월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고운산 |
---|---|
실연방법 | 독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고운산 |
해설 | 제주도의 대표적인 유흥요 가운데 하나로 알려진 노래. 원래는 육지의 서도민요권에서 유입된 노래로 추정된다. 노랫말은 흔히 유흥계에 부르는 것들이나, “한라산에는 눈이 가득해도 나와 나는 봄철이다(사이가 좋다)”는 구절은 제주도다운 노랫말이다. |
가사 | (후렴) 둥기대당실 둥기대당실 여도당실 연자바리고
달도 밝고 제가 머리로 갈까나 오돌딸기 달기 춘향이 나온다 달도 밝고 제가 머리로 갈까나 칠폭 팔폭은 여덟폭 치매 깔고 덮으난 폭반이 남았네 돈 닷돈 보고서 삼밧듸 들었더니 물명지 단속곳 다 찢어졌구나 한로산 중허리엔 눈이 가뜩 쌓여도 너하고 나는 봄철이로구낭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