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구분 | 음향 |
---|---|
원제목 | - |
주제분류 | 민요 > 유희요 > 가창유희요 |
국적 | 대한민국 |
시대 | 2000년대 |
소장처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
개요 |
본 자료는 문화방송(MBC)이 1989년 01월 23일 제주 북제주에서 기록한 이야홍이다. 한국민요대전: 우리의 소리를 찾아서(CD 12장, 235곡) 는 한국민요대전(CD 103장, 2,255곡) 에서 일부 악곡을 선정하여 2000년 9월에 발매되었다. |
실연자 | 김경성, 한중선 |
---|---|
실연방법 | 병창 |
실연자 역할 | 가창/김경성, 한중선 |
해설 | 오래 되어서 연원을 찾기 힘드나 역시 육지에서 유입된 것으로 보이는 노래다. 위의 오돌또기와 함께 제주도의 대표적인 민요로 알려져 있다. 노랫말은 백록담, 성산일출봉, 삼성혈, 용연 등 제주의 경승지를 나열하고 있다. |
가사 | (후렴) 이야홍 야홍 그렇고 말고요
야홍 이야홍 다 골을1) 말이냐 이야홍 소리에 정떨어졌구나 이야홍 그렇고 말고요 한라산 상상봉 높고도 높은봉 이야홍 백록담이라 고량부 삼성에2) 나오신 그 곳은 이야홍 삼성혈이라 성산일출봉 야경조로다3) 이야홍 그렇고 말고요 용연 야범에4) 노젓는 뱃사공 이야홍 그렇고 말고요 우리가 살면은 멧벡년 사느냐 이야홍 그렇고 말고요 1)다 골을: 다 이를. 2)고량부(高梁釜) 삼성(三性). 3)야경조: ? 4)용연야범(龍淵夜帆): 영주12경의 하나. 용두암 근처 냇물과 바다가 만나는 지점에 있는 큰 못. 경치가 좋아 선비들이 배를 띄우고 놀았다고 한다. |